친환경 선박 규제가 2020년 시행된다는 소식에 국내 조선·해운업계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조선업계는 친환경 선박 발주 증가로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하는 반면 해운업계는 비용 부담이 늘게 돼 울상이다.
30일 조선업계 등에 따르면 유엔 산하 국제해사기구(IMO)는 지난 27일(현지시간) 선박 연료의 황산화물(SOx) 배출량 상한선 비율을 2020년까지 현행 3.5%에서 0.5%로 대폭 줄이기로 결정했다. 해외 선주 등은 2025년까지 규제 강화를 미뤄 달라고 주장해 왔었다. 하지만 2020년 규제 시행이 효과적이라는 전문기관의 보고서가 채택됐다. 황산화물 규제는 신규 선박은 물론 중고선에도 적용돼 가장 강력한 규제 이슈로 꼽힌다.
규제가 시행되면 선박 연료로 벙커C유 사용이 제한된다. 황산화물 배출을 줄이기 위해 집진기 설치, LNG와 유류를 섞어 쓰는 이중연료 엔진 개조가 필요하다. 하지만 수리에 긴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장기적으로 LNG 친환경 선박 발주가 늘 것으로 기대된다.
하나금융투자는 “전 세계 중고 선박들이 한순간에 경쟁력을 잃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투자증권 이경자 연구원은 2016∼2025년 동안 해체될 가능성이 있는 유조선을 82척(연령 20년 이상 선박)으로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조선업계가 LNG 선박 설계·제조 등 부문에선 중국 업체들과 비교해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본다. 향후 조선업 구조조정 과정에서도 친환경 선박 제조 부문을 살리면서 2020년까지 버텨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해운업계에선 난색을 표하고 있다. 한진해운 법정관리 등 한국 해운업의 경쟁력이 약화된 상황에서 추가 타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신규 선박 건조 비용은 물론이고 벙커C유를 경질석유제품(MGO) 등 다른 연료로 바꾸는 데 들어가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MGO 가격은 1t에 428달러로 일반 벙커C유(253달러)보다 1.6배 정도 비싸다. 국제해사기구는 또 선박에서 배출되는 탄소량을 2020년까지 2005년 대비 20% 감축토록 하는 등 추가 규제도 현실화하고 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2020년부터 선박 배출물질 강력 규제, 어깨 펴는 造船… 찡그리는 해운
입력 2016-10-30 1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