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50개국 발의 ‘핵무기 금지조약 협상 개시안’ 유엔 총회 통과

입력 2016-10-28 18:07

세계 50개국이 공동 발의한 핵무기 금지 조약 협상 개시안이 유엔 총회를 통과했다. 하지만 핵 비보유국이자 원폭 피해를 경험한 일본이 반대 의사를 밝히면서 눈총을 받았다.

ABC방송은 2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총회 제1위원회에서 멕시코, 오스트리아 등 핵무기 비보유국 50개국이 공동 발의한 핵무기 금지 조약 협상 개시안이 찬성 123표로 통과됐다고 보도했다.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등 38개국은 반대했고 중국과 인도, 파키스탄 등 16개국은 기권했다.

개시안은 핵무기 사용을 법적으로 금지하는 국제 조약 제정을 목표로 한다. 핵무기를 제외한 생화학, 지뢰, 산탄형 폭탄 등 대부분의 대량살상무기는 현재까지 국제 조약에 의해 금지되고 있다.

주요 핵보유국 9개국은 반대편에 서거나 기권했다. 하지만 유일한 원폭 피해국인 일본은 “핵 축소는 핵보유국과 비 보유국이 협력해 추진해야 한다”며 퇴짜를 놨다. 이에 국제사회는 예상 밖이라는 반응을 나타냈다. 특히 이번 개시안 통과에 가장 힘써온 오스트리아는 “핵무기 피폭자들의 호소로 핵무기가 비인도적이라는 인식이 국제 사회에서 확산됐다”며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피폭자들의 역할이 컸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국제 비정부기구인 핵무기폐기국제캠페인(ICAN)의 가와사키 사토시 운영위원은 NHK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일본은 핵 없는 세계를 지향한다는 목표를 내걸면서 핵무기 금지 조약 협상을 거부했다”며 “일본 내에서도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이고 이에 대해 거세게 항의하겠다”고 비판했다. 일본과 함께 우리나라도 반대편에 섰다. 북한의 핵 도발 앞에서 양국은 미국의 핵우산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개시안은 다음 달 유엔총회 본회의에서도 통과되면 내년 3월부터 조약 제정을 위한 본격적인 협상이 시작된다.

글=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 그래픽=안지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