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31일 조선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하기로 했다. 조선업 구조조정을 둘러싼 소문이 무성하다. 대우조선해양의 법정관리로 조선업이 빅3에서 빅2 체제로 재편될 것이라는 소문과 한진해운의 법정관리로 홍역을 치른 전력이 있는 만큼 대우조선해양이 법정관리까지 가지는 않을 것이라는 엇갈린 전망이 나온다.
27일 조선업 구조조정의 소관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30일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6차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조선·해운 산업경쟁력 강화 방안을 확정해 다음 날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서 제기하는 빅3 체제 재편은 현재로선 대책에 포함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일단 ‘한진해운 구조조정은 근본적으로 실패’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주도했던 금융위원회가 조선업 구조조정에 몸을 사리고 있다. 금융위는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을 통해 조선업 구조조정에 대규모 물량을 투입했다. 산업은행은 STX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 대한조선의 주채권은행이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가 조선 3사에 전달한 보고서 초안에 대우조선의 독자 생존이 사실상 어렵다고 평가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한때 대우조선 해체론이 부각되기도 했지만,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국정감사에서 “맥킨지 보고서는 참고자료”라고 일축했다. 산업부도 대우조선 구조조정에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있다. 해운업체 구조조정의 소관부처인 해양수산부가 한진해운 물류대란으로 곤욕을 치른 것을 지켜봤기 때문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방안에는 대우조선해양이 채권단 주도로 구조조정을 원활히 추진하고 업계가 자발적 판단에 따라 사업재편을 추진한다면 정부가 기업활력법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는 원론적인 입장이 담길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조선업 경쟁력 강화방안에는 각사의 자구계획에 따른 공급능력 축소, 친환경 선박 등 고부가가치 선종 기술력 확보 등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최근 대불산단 조선업계 간담회에서 “선박건조 중심의 조선산업에서 선박 관련 서비스를 포함하는 선박산업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차 경제현안점검회의를 주재한 유 부총리도 조선업은 과잉설비, 인력 축소, 비핵심 자산 매각 등 고강도 자구노력을 통해 당면한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회의엔 산업부와 국토교통부, 해수부 장관과 금융위원장이 참석했다.
유 부총리는 “대형·고부가가치·친환경 상선 등 조선사별 경쟁력 있는 분야에 핵심 역량을 집중하도록 사업 포트폴리오를 조정해야 한다”고 했다. 특히 대우조선과 관련해서는 민영화 등을 통한 사업재편을 요청했다. 대우조선의 재무구조 개선과 관련해서는 추가적인 신규 유동성 지원은 없다는 기본원칙 안에서 안정적인 부채비율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기로 했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그래픽=박동민 기자
대우조선해양, 최악 ‘법정관리’까진 가지 않을 듯
입력 2016-10-28 0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