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와 전남도의 상생이 겉돌고 있다. 민선6기 출범 이후 시·도가 3년 만에 상생발전위원회를 부활시켰으나 ‘빛 좋은 개살구’에 그치고 있다. 광주시는 “광주와 빛가람혁신도시를 오가는 나주 농어촌버스(999번) 운행회사가 나주시로부터 275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받았다”고 27일 밝혔다.
과태료 부과는 한국전력 등이 입주한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조성을 계기로 고조된 시·도 간 상생협력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은 상징적 사건이 되고 있다.
시·도는 민선6기 출범 3개월여 만인 2014년 10월 상생발전을 위한 위원회를 재구성했다. 2011년 이후 휴면상태에 들어갔던 위원회를 역점시책으로 다시 가동한 것이다.
하지만 그동안 1년에 두 차례 시·도지사가 만나 형식적인 회의만 개최했을 뿐이다. 시·도는 오히려 1986년 광주직할시 승격과 1988년 행정구역 개편 과정에서 승계 누락된 600억원 상당의 땅 소유권을 둘러싸고 법적 다툼도 불사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또 시·도는 한전에너지밸리연구개발센터와 국립 한국문학관, 호남권 잡월드 유치 등을 놓고 한때 소모적 경쟁을 벌이기도 했다. 무안공항 활성화와 맞물린 광주 민간·군 공항과 무등산 군부대 이전 문제 등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역사적으로 한뿌리인 시·도의 상생발전이 헛구호에 머물고 있다”며 “양측이 진솔한 대화를 통해 상생의 기틀을 굳건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광주시-전남도 상생… 남보다 못한 ‘개살구’
입력 2016-10-27 1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