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최순실 특검’ 전격 수용

입력 2016-10-27 00:00
새누리당이 26일 최순실씨 관련 의혹에 대한 특별검사 실시를 전격 수용키로 한 것은 이번 사태가 여권 공멸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 때문이다.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에도 오히려 민심은 더 들끓고 있다는 판단이다. 당이 미온적인 대응할 경우 여권 전체가 수렁에 빠지고, 내년 대선은 필패라는 우려가 여권 내부에 팽배하다.

국민의당은 특검이 실익이 없다며 신중한 입장을 내비쳤지만 더불어민주당이 이를 당론으로 정해 특검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이번 의혹에 박 대통령이 연결돼 있는 만큼 특검 도입 시기나 형식, 수사 대상과 범위 등 구체적인 절차를 협의하는 과정에서 진통도 예상된다. 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최고위회의에서 “박 대통령도 조사 대상이다. 소추는 할 수 없지만 조사는 해야 한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내부에서는 지도부 일괄 사퇴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 요구가 분출되고 있다. 오후 열린 의원총회에서 김성태 권성동 김용태 정양석 의원 등 비주류 의원들은 지도부 교체를 공식 요구했다. 지도부가 청와대 방탄에만 몰두하다 최순실 국정농단 파문을 키웠다는 책임론이다.

당 안팎에선 “가장 우선적으로 당 리더십을 교체해야 한다. 비대위 체제가 시급하다”(남경필 경기지사) “현재의 친박 지도부는 너무 청와대를 추종한다”(이종구 의원) “지도부는 헛발질만 하고 존재감이 없다”(하태경 의원) 등 압박 발언도 계속됐다. 당 관계자는 “이 정도면 사실상 지도부 불신임 사태로 볼 수도 있다”고 했다.

여권에선 대통령과 각을 세웠던 유승민 의원 등이 이미 차기 비대위원장으로 회자되는 상황이다. 전당대회 때 당 쇄신을 공약으로 내걸었던 주호영 정병국 의원 등도 거론된다.

그러나 지도부와 주류 친박(친박근혜)계는 일단 ‘이정현 체제’로 사태를 대처하겠다는 방침이어서 여권 분열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친박계 이우현 박대출 의원 등은 의총에서 “국정 혼란을 더 키울 수 있다. 지금 당 지도부를 흔들어서는 안 된다”는 취지로 지도부 사퇴 요구를 방어했다.

이정현 대표는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지만 무책임하게 지금 그만둘 수는 없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는 오전 긴급 비공개 최고위원회의 직후 “당대표로서 오늘부터 당사에서 사태가 수습될 때까지 상주하며 지휘하겠다”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