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의 대통령, 바지 대통령, 朴 부통령, 수렴청정…”

입력 2016-10-27 04:03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최순실 게이트’를 질타하며 박근혜 대통령을 향해 ‘바지 대통령’ ‘박근혜 부통령’ ‘수렴청정’ 등 원색적 표현으로 비판했다. 야당은 청와대 참모진 일괄사퇴와 특별검사 임명 등을 주장하며 정부·여당을 강하게 압박했다. 무소속 의원들은 대통령 하야까지 거론했다.

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26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사실상 두 명의 대통령이 국정을 운영하고 있었다. 낮의 대통령은 박근혜, 밤의 대통령은 최순실”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열린 긴급 의원총회에서는 “세간에서 ‘바지사장은 많이 들어봤는데 바지대통령은 처음 들어봤다’고 말한다”며 “최순실이 수렴청정하는 정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했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도 비대위원회의에서 “우리 국민은 지금까지 ‘최순실 정권’에서 살았다. 심지어 ‘최순실 대통령, 박근혜 부통령’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며 날을 세웠다. 그는 “최씨가 연설문으로 대통령의 머리를 지배하고, 의상과 각종 소품들로 대통령의 외양까지 점령했다”며 “박 대통령이 최태민·최순실의 사교(邪敎)에 씌어서 이런 일을 했다고밖에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야권 유력 정치인들도 청와대를 정면 겨냥했다.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긴급성명을 내고 “대통령이 아무 권위 없는 ‘식물 대통령’이 되지 않을까 우려스럽다”며 “당적을 버리고 국회와 협의하여 거국중립내각을 구성하라”고 말했다. 대선 후보 출신인 국민의당 정동영 의원은 “최씨의 비선 모임에서 개성공단 폐쇄가 논의됐다”며 “최순실이라는 일개 사인과 개성공단 폐쇄를 논의했다는 것은 불법적 국기 문란 행위”라고 규탄했다.

다만 민주당과 국민의당은 탄핵 관련 발언에 대해서는 조심스러운 입장을 드러냈다. 민주당 이재정 원내대변인은 의총 직후 기자들과 만나 “(탄핵과 하야 등) 언급하지 않은 단어에 대해서는 말하기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박 위원장은 자신의 SNS에 글을 올려 “일부 야당에서 특검 요구나 탄핵을 운운하는데 실효적 효과도 없고 역풍의 우려도 크다”고 했다.

정의당 심상정 대표는 이틀째 탄핵 가능성을 거론했다. 그는 라디오 인터뷰에서 “탄핵이 법률적으로는 물론 가능하다”고 말했다. 다만 “실효성에 대해 깊이 생각해봐야 된다”고 덧붙였다. 무소속 윤종오·김종훈 의원은 기자회견을 열고 박 대통령 하야를 요구했다. 이들은 “(박 대통령이) 정치적·도덕적 권위를 상실했다”며 “조건 없이 하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승혁 기자 marquez@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