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학회 5곳이 최근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저탄수화물·고지방 식사’를 경고하고 나섰다. 학회들은 장기적으로 체중감량 효과를 보기 어렵고 되레 심혈관질환, 근육량 감소, 영양 불균형 등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저탄수화물·고지방 식사’는 탄수화물을 전체 칼로리의 5∼10%로 줄이는 대신 지방 섭취를 70% 이상으로 늘리는 것을 말한다.
대한비만학회와 대한내분비학회, 대한당뇨병학회, 한국영양학회,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등은 26일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5개 학회는 “저탄수화물·고지방 식사는 조기 포만감을 유도해 식욕을 억제하는 원리”라면서 “시행 초기 단기간 체중감량 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지만 이런 식사를 지속하기 어려워 중단율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보고됐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동물성 포화지방을 과다하게 섭취하면 ‘나쁜 콜레스테롤’로 불리는 LDL 수치가 증가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비정상적으로 지방을 많이 섭취하면 다양한 음식을 먹기 어려워지면서 미량 영양소의 불균형과 섬유소 섭취 감소를 부를 수도 있다. 학회들은 “탄수화물 섭취를 극도로 제한하면 ‘케톤산’이 증가해 근육·뼈에 나쁜 영향을 주고, 뇌로 가는 포도당이 줄어들면서 집중력이 떨어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고지방 다이어트 효과낮고 건강해친다”
입력 2016-10-26 1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