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에서 최순실씨 국정개입 의혹 사건으로 공멸 위기감이 번지면서 각종 쇄신론이 봇물 터지듯 쏟아지고 있다. 특별검사 도입 등 강도 높은 진상규명 필요성이 제기되고, 박근혜 대통령을 직접 겨냥한 책임론까지 거론됐다. 야당과 마찬가지로 내각·청와대비서진 총사퇴 등 인적쇄신론 주장도 터져 나왔다.
새누리당 비주류는 소극적 대응으로 일관하는 지도부 성토 목소리를 내는 등 난맥상을 연출했다. 이번 사건을 제대로 정리하지 못하면 내년 대선은 하나마나한 싸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팽배하다.
새누리당 비주류 의원들은 25일 대통령 연설문 사전 유출 의혹에 대한 특검 도입, 국정조사 실시 등을 요구하고 나섰다. 정진석 원내대표, 정병국 정우택 나경원 권성동 김용태 의원 등 비주류 중진그룹은 박 대통령을 직접 거론했다.
당 내부에서는 이번 사건이 박 대통령의 최측근이 연루된 ‘국정농단 사태’라는 인식이 퍼지고 있다. 하태경 의원은 “이 사건을 우리 정권과 당의 대국민 신뢰를 붕괴시킬 수 있는 ‘초대형 권력형 부정·비리 사건’으로 규정해야 한다”고 했다.
김용태 의원은 여당 의원 중 처음으로 ‘공정한 수사를 위해 박 대통령이 당적을 정리해야 한다’며 사실상 탈당을 요구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청와대 대응이 계속 미온적일 경우 대통령을 향한 탈당 요구가 분출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박 대통령이 탈당할 경우 주류 친박(친박근혜)계와 비주류가 분화하는 정계개편 가능성도 있다.
진상 규명을 넘어선 국정 전면 쇄신 목소리도 나온다. 여권 내부에서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경질은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비박계 한 의원은 “문건 유출에 관계된 비서진과 미르·K스포츠재단 관련 비서진 등 검찰 수사 대상자는 최소한 조기에 사퇴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정우택 의원은 “우 수석의 신속한 경질은 물론 청와대 비서진의 전면적 인적쇄신과 개편도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친박 중진의원은 “청와대 비서진이 일괄 사퇴해야 한다”고 했다.
지도부 성토 목소리도 높다. 이정현 대표가 이날 대통령 연설문 사전 유출 의혹에 대해 “나도 연설문을 작성하기 전 친구 등 지인에게 물어보고 쓴다”고 언급하자 하 의원은 즉각 “이 대표 인식이 너무 안일해서 걱정”이라고 비판했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지도부가 국정감사 기간 증인 채택을 방해하고 청와대를 방탄만 하면서 이번 사건을 키운 책임이 있다”며 “여당 전체가 잘못한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지도부가 총사퇴하고 비대위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공멸 위기감에 부글부글… 새누리서 첫 대통령 탈당 요구
입력 2016-10-26 0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