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레임덕이 시작됐다. 콘크리트 지지율로 난공불락(難攻不落) 같았던 박 대통령이 집권 이후 최대 정치적 위기에 봉착했다. ‘비선실세’ 의혹을 받고 있는 최순실씨가 개입된 ‘대통령 연설문 사전 유출 의혹’ 사건이 결정타가 됐다.
박 대통령은 25일 베일에 가려져 있던 최순실씨의 실명을 처음 언급하며 대국민 사과를 했지만 논란의 불을 끄기는커녕 오히려 기름을 부었다는 평가가 제기된다.
특히 야당은 물론 여당에서도 강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는 것은 레임덕이 본격화됐음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해석됐다. 새누리당 유승민 의원은 “대통령의 사과 정도로 끝날 문제는 아니다”라고 주장했고, 남경필 경기지사는 “대통령의 상황인식이 참으로 걱정스럽다”고 지적했다.
새누리당 김용태 의원은 여당 의원 중에서 처음으로 박 대통령의 탈당을 요구했다. 김 의원은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에서 “여야가 특검 도입을 합의하면 공정하고 엄정한 수사를 위해 대통령이 당적 정리 등 필요한 조치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 새누리당 의원은 “박 대통령이 대국민 사과를 통해 스스로 최씨로부터 도움을 받았다는 사실을 실토했다”면서 “야권은 ‘최순실 게이트’의 몸통이 박 대통령이라고 몰아붙일 것”이라고 말했다.
여당 일부에서 국정조사·특검, 청와대 인적 쇄신 요구 등이 봇물처럼 터져나오면서 박 대통령은 더욱 코너에 몰렸다. 여당 쇄신파의 주장은 야당의 요구와 큰 차이가 없어 보였다.
야권은 “박 대통령도 수사 대상”이라며 총공세를 퍼부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긴급 성명을 발표하고 “국기문란을 넘어선 국정붕괴”라며 청와대 참모진 일괄 사퇴를 요구했다. 이어 “박 대통령에게 엄중 경고한다”며 “최순실씨를 즉각 귀국시켜 수사하라”고 주장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전 공동대표도 긴급 기자회견에서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은 ‘국기붕괴’ 사건”이라며 “특검을 포함한 성역 없는 수사로 짓밟힌 국민의 자존심을 다시 세워야 하며, 대통령도 당연히 수사 대상에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청와대 비서진의 전면 교체와 내각 총사퇴를 요구하며 “오늘로써 대통령발 개헌 논의는 종료되었음을 선언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최고위원회는 긴급 간담회를 갖고 ‘최순실 게이트’에 대한 당 차원의 특검 추진과 청와대 비서진 전면 교체를 요구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글=하윤해 최승욱 기자 justice@kmib.co.kr, 사진=이병주 기자
野 “대통령도 수사, 내각·비서진 총사퇴” 與도 균열… ‘레임덕’ 시작됐다
입력 2016-10-26 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