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아이폰7을 사는 사람은 크게 두 부류다. 먼저 기존에 아이폰을 쓰던 고객이 때가 돼서 업그레이드 하는 경우다. 두 번째는 노트7 단종 때문에 아이폰7으로 넘어오려는 사용자다. 전자라면 아이폰7을 선택하는 게 유일한 대안이다. iOS를 쓸 수 있는 기기는 아이폰 뿐이기 때문이다. 관심은 후자다. 과연 노트7을 쓰던 안드로이드 충성고객이 아이폰7으로 갈아탈만큼 매력이 있을까 여부다.
결론부터 말하면 노트7 사용자가 아이폰7을 쓰기엔 만족도가 그리 높을 것 같지 않다. 스마트폰 경쟁력의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는 디자인, 카메라, 디스플레이 등에서 아이폰7이 앞서는 점을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아이폰7은 전작인 아이폰6s의 외관을 거의 그대로 계승했다. 카메라부근 디자인이 약간 바뀌었고, 뒷면을 가로질렀던 절연띠가 위아래 테두리 부분으로 이동했다는 점 정도가 차이다. 원래 좋은 디자인이라 큰 변화를 줄 필요가 없었는지 익숙한 느낌이 들도록 미세하게 변화를 줬다. 이번에 처음 선보인 제트 블랙 색상은 상당히 매력적이었다. 매끈한 재질에 광택이 흐르는 검은색은 세련된 느낌을 준다. 다른 색상에 비해 흠집이 잘 날 수 있지만 색상을 고르라면 단연 제트 블랙을 선택할 정도다.
카메라는 렌즈를 6매로 늘리고, 밝기도 F1.8로 낮추는 등 사양을 높였다. 폭넓은 색상을 담을 수 있도록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SP)도 업그레이드했다. 하지만 사진 품질이 이전보다 대폭 개선됐다고 보기는 어렵다. 갤럭시S7과 아이폰7으로 동일한 장소에서 사진을 찍어본 결과 품질은 아이폰7이 낫다고 얘기하기 어려웠다. 더 이상 아이폰을 가장 뛰어난 스마트폰 카메라라고 부르긴 힘들 거 같다.
아이폰7 플러스에는 듀얼 카메라가 탑재됐다. iOS 10.1 버전부터 아이폰7 플러스에서만 쓸 수 있는 인물 사진 기능이 추가된다. DSLR 카메라에서 인물 사진을 찍을 때 쓰는 ‘아웃 포커싱’ 기능을 비슷하게 재현할 수 있다. 사진 촬영의 편의성 측면에서는 여전히 아이폰이 한 수위라고 볼 수 있다.
이어폰 잭이 사라진 건 아무리 봐도 어색했다. 애플은 장기적으로 주변기기가 모두 무선으로 갈 것이기 때문에 이어폰 잭을 없앴다는 입장이다. 그런데 정작 아이폰7에 무선충전 기능이 빠진 건 의아했다. 충전과 음악 듣기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데 둘을 동시에 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 때문에 무선 충전 기능을 뺀 애플의 결정에 의문이 든다. 아이폰7은 IP67 등급의 방수방진 기능도 탑재했다. 라이트닝 포트가 물에 젖을 경우 케이블을 통한 충전이 안 되는 경우도 있어서 무선 충전 기능은 필요해 보인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아이폰7’ 써보니… 갤노트7 고객 ‘유혹’ 쉽잖을 듯
입력 2016-10-25 1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