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중국인 대상 저가관광 규제” 국내 업계 “직격탄 맞을라” 후들

입력 2016-10-25 17:59

중국 정부가 자국민에 대한 저가 단체 관광을 규제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여행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저가 관광을 규제하면 관광객 수가 줄어들 가능성이 큰 만큼 중국 관광객(유커) 의존도가 높은 국내 관광 산업에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25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중국 관광 산업을 총괄하는 중국 국가여유국은 지난 24일 저가 단체 관광을 중점적으로 관리하겠다고 홈페이지에서 밝혔다. 관리 대상국은 한국뿐 아니라 태국 등 저가 관광이 문제가 되고 있는 모든 국가들이 포함됐다. 중국 국가여유국은 관광 계약서뿐 아니라 현장 조사 등을 통해 저가 관광을 집중 단속할 계획이다. 이를 어기면 벌금을 부과한다는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상하이 등 일부 지역의 경우 정부가 관할 여행사에 방한 중국인 수를 20% 줄이라고 구두 안내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저가 관광은 대규모 여행객들이 사전면세점(대형 면세점)이나 사후면세점(한약방, 인삼 등 판매처) 등에 주로 머물며 쇼핑을 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관광 프로그램이 관광 명소 방문보다는 쇼핑에 집중돼 있어 재방문율이 떨어지는 고질적인 원인으로 꼽혀 왔다.

여행업계는 중국 정부의 이러한 지침으로 유커들이 방한을 꺼리게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국내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 중 50%가량이 유커인 데다 면세점 등은 유커 매출이 70%를 육박하기 때문이다. 여행사와 항공사, 면세점, 유통점 등이 모두 직격탄을 맞게 되는 셈이다.

한국관광공사가 지난달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올해 1∼9월 유커 수는 633만4312명으로 지난해(598만4170명)보다 늘었다.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여파로 지난해 움츠렸던 한국 관광업계가 올해는 중국 관광객 등의 증가로 기지개를 켜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중국 정부의 지침에 당혹스럽다는 반응이다.

면세점 업계 관계자는 “면세사업 자체가 대외 환경에 민감한 업종인데 최근 추가 면세점 개점으로 경쟁이 치열해진 데다 중국 정부의 지침까지 현실화되면 현장 우려감이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면세점 업계에선 저가 관광객이 아닌 젊은 싼커(散客·개별관광객)를 겨냥한 현지 마케팅을 더욱 강화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그래픽=안지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