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이산화탄소 농도, 세계 평균보다 빠르게 증가

입력 2016-10-24 18:01

한반도의 이산화탄소(CO₂) 농도가 빠르게 늘고 있다. 증가 속도가 세계평균보다 높다.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와 함께 지리적 위치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대표적 온실가스다. 온실가스에는 이산화탄소 외에 메탄(CH왺) 아산화질소(N₂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왽)이 있다.

세계기상기구는 지난해 지구 전체의 이산화탄소 연평균 농도가 400.0ppm을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이산화탄소 농도가 400ppm대로 진입하기는 1958년 관측을 시작한 이후 처음이다. 기상청은 “400ppm대 진입은 산업화 이전(1750년) 대비 지구 평균 기온이 2도나 높아질 수 있다는 위협적인 관측 결과”라며 “2도 이상 높아지면 해수면 상승 등 전 지구적인 환경 문제가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량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지난 1년 동안 늘어난 지구의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량(2.3ppm)은 최근 10년 동안의 연평균 농도 증가량(2.1ppm)보다 많다. 특히 한반도의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속도가 빠르다. 지난해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소의 이산화탄소 연평균 농도는 407ppm을 찍었다. 우리나라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2012년에 400.2ppm으로 이미 400ppm 선을 넘어선 지 오래다. 최근 10년 동안 연평균 2.3ppm 늘었지만 2014년에서 지난해 사이엔 2.5ppm이나 증가했다. 기상청은 1999년부터 이산화탄소 농도 관측을 시작한 안면 기후변화감시소의 관측값을 우리나라 대푯값으로 보고한다.

한반도에서 증가 속도가 두드러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이산화탄소 배출량에서 세계 상위권이라는 점을 꼽는다. 이어 중국의 동쪽에 있다는 지리적 위치를 원인 중 하나로 지목한다.

국립기상과학원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전 세계적으로 상위권인 데다 우리보다 더 이산화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중국이 한반도 바로 옆에 위치한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고지대에서 관측한 이산화탄소 농도만 공개한다. 평지에서 측정한 자료는 공개하고 있지 않다.

임주언 기자 e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