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오른 권력투쟁… ‘시진핑 2기’ 지도부 윤곽 나올까

입력 2016-10-25 04:01
중국 베이징 천안문광장에서 서쪽으로 7㎞쯤 떨어진 징시(京西)호텔(사진) 주변은 삼엄한 경계로 긴장감이 돌았다. 호텔 주변 도로는 바리케이드를 앞세운 경찰의 통제로 차는 물론 행인도 접근할 수 없었다. 인근 군사박물관 버스정류장에는 ‘안전원’도 눈에 띄었다.

징시호텔에서는 24일 제18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제6차 전체회의(18기6중전회)가 개막해 4일간의 일정에 돌입했다. 하지만 이렇게 중요한 행사가 이곳에서 열리는 사실을 아는 시민은 드물었다. 택시기사 원모씨는 “근처를 지나다녀도 징시호텔이 이런 곳인 줄 몰랐다”면서 “3중전회 개최 소식은 알지만 6중전회가 오늘 열리는 것은 몰랐다”고 말했다. 호텔에 낮게 걸린 ‘중국공산당 만세’ 간판만이 심상찮은 곳임을 짐작하게 했다.

6중전회는 시진핑 국가주석 등 중국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 7명과 중앙위원 및 중앙후보위원 370여명이 비공개로 회의를 진행하며 국가의 미래를 설계한다.

공식 발표된 대회 의제는 전면적 종엄치당(從嚴治黨·엄정하게 당을 다스림)이다. 시 주석이 공산당 지도이념으로 제시한 ‘4개 전면(四個全面)’의 제도화가 마무리되는 셈이다. 중국공산당은 이미 3∼5중전회에서 4개 전면 가운데 전면적 개혁 심화(3중전회), 전면적 의법치국(依法治國·법에 따른 통치·4중전회), 전면적 소강사회(小康社會·모든 국민이 풍족한 생활을 누리는 사회·5중전회)를 구체화했다.

이번 6중전회에서는 시 주석의 반부패 드라이브와 권력 집중화가 제도적 기반을 구축해 체계화될 전망이다. 공산당 중앙정치국은 지난달 27일 총서기인 시 주석이 주재한 회의에서 ‘새로운 형세 속 당내 정치생활과 관련한 몇 가지 준칙’ 제정안과 ‘중국공산당 내부 감독 조례’ 개정안을 확정, 6중전회에서 심의토록 했다.

내부 감독 조례는 시 주석이 집권과 동시에 추진한 반부패 개혁이 제도화된다는 데 의미가 있다. 푸단중국연구원 쑹루정 연구원은 BBC중문망 기고에서 “반부패 드라이브가 민심 하락을 멈추는 데는 성공했지만 아직 근본을 건드리지 않는 임시방편이라는 평가도 있다”며 “6중전회는 제도와 규범이 마련되는 계기”라고 전망했다.

다른 안건인 준칙은 ‘새로운 형세’라는 말이 시사하듯 1980년 11기 5중전회에서 채택된 ‘당내정치 생활에 관한 약간의 준칙’의 시진핑식 버전이다. 덩샤오핑 시대에 만들어진 1980년 준칙은 문화대혁명의 ‘비정상적 정치’의 재발을 막는다는 원칙에 따라 1인 지배체제를 부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개혁파인 후야오방 전 총서기가 초안을 잡아 집단지도 체제와 민주집중제를 기본이념으로 담고 있다. 상하이정법학원 천다오인 교수는 “새로운 준칙에는 반대파의 목소리를 허용하지 않는 중앙집권적 지도 이념이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6중전회는 지도부 전면 개편이 이뤄질 내년 하반기 19차 당대회의 전초전 성격이 짙다. 때문에 회의 기간은 물론 이후에도 계파 간 권력 투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분석가들은 시 주석의 권력 집중에 맞서 장쩌민 전 주석 파벌과 리커창 총리의 공청단파의 반발이 거세질 것으로 보고 있다.

베이징=글·사진 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