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외교관과 미국의 전직 북핵 관련 고위 관료가 말레이시아에서 반민반관(半民半官) 성격의 비공식 접촉을 가졌다. 미국 대선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새 대북 제재 결의 채택을 앞두고 이뤄진 만남이어서 배경이 주목된다.
한성렬 북한 외무성 미국국장과 장일훈 주유엔 북한대표부 차석대사가 21일 콸라룸푸르의 한 호텔에서 로버트 갈루치 전 미 국무부 북핵특사, 조지프 디트라니 전 미국 국가정보국(DNI) 비확산센터 소장과 비밀리에 회동했다.
한 국장과 장 차석대사는 각각 미국과 유엔 상대 업무를 담당하는 북한 고위 외교관이다. 미국 측의 갈루치 전 특사는 1차 북핵 위기를 봉합한 1994년 북·미 제네바 합의의 주역이었으며 디트라니 전 소장은 2005년 9·19공동성명 당시 6자회담 차석대표였다.
다만 이번 접촉이 본격적인 북·미 대화의 전초전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앞서 존 케리 미 국무부 장관은 19일(현지시간) 한국과의 외교·국방(2+2)장관회의에서 “미국은 북한을 초토화할 능력이 있다”고 밝히는 등 강력한 대북 메시지를 보냈다.
외교 소식통은 “북한에선 한 국장 또는 최선희 미국국 부국장이 오고 미국 측에서 학자들이 참석하는 ‘1.5 트랙’ 대화는 과거에도 여러 차례 있었다”면서 “2+2회의 당시 케리 장관의 메시지를 미뤄보면 이번 대화에 큰 의미를 부여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따라서 이번 접촉은 북·미 간 진의를 파악하는 ‘탐색적 대화’ 성격을 띤 것으로 보인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北·美 극비 접촉 말레이시아서 한성렬-갈루치 회동
입력 2016-10-21 2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