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0일 “제7공화국을 열기 위해 이 자리에 섰다”며 정계 복귀와 동시에 민주당 탈당을 선언했다. 2014년 7·30보궐선거에서 패하고 다음 날 전남 강진으로 떠난 지 2년2개월여 만이다. 무소속 신분이 된 그가 개헌을 매개로 한 제3지대론의 구심점이 될지 주목된다.
손 전 대표는 은퇴 기자회견을 했던 국회 정론관에 서서 “1987년 헌법 체제가 만든 제6공화국은 그 명운을 다했다”고 개헌 얘기를 꺼냈다. 그는 “정치 경제 새판 짜기에 모든 것을 바치겠다”며 “이 일을 위해 모든 것을 내려놓겠다. 당적도 버리겠다”고 했다. 손 전 대표는 원고에 써 있던 ‘당적’을 ‘당직’으로 잘못 읽어 탈당이냐 아니냐를 놓고 소란이 일었다. 그는 “제가 꼭 대통령이 되겠다는 생각도 없다”며 “명운이 다한 제6공화국의 대통령이 되는 것이 저한테는 아무 의미가 없다”고 했다. 개헌을 복귀 명분으로 삼은 것이다.
손 전 대표는 측근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탈당을 결심했다고 한다. 가까운 의원들도 기자회견 전 티타임 때 탈당 결정을 전해들었다. 한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손 전 대표가 ‘정계 은퇴한 사람이 다시 돌아왔는데 기득권을 전부 내려놓아야 진정성을 믿어주지 않겠느냐’고 말했다”고 전했다. 내년 대선이 마지막 기회인만큼 배수진을 쳤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손 전 대표는 “각자 처한 위치에서 새판 짜는 일을 같이할 수 있을 것”이라며 동반 탈당을 자제시킨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민주당에선 비문(비문재인) 의원들의 원심력이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찬열 의원은 “손 전 대표 덕에 3선 의원까지 했다”며 “마음속에 탈당 시점은 정해져 있다”고 했다. 손 전 대표는 2007년 대선을 앞두고 “시베리아를 넘어가겠다”며 한나라당에서 대통합민주신당으로 당적을 옮겼지만 대선 경선에서 연거푸 고배를 마셨다.
손 전 대표 탈당으로 대선 판도도 출렁이게 됐다. 물밑에서만 꿈틀댔던 제3지대론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손 전 대표는 정의화 전 국회의장과 김종인 전 민주당 대표와 여러 번 접촉해 의견을 나눴다. 손 전 대표는 최근 서울 구기동 김 전 대표 자택 옆으로 이사해 물리적 거리도 가까워졌다.
국민의당은 거듭 영입 러브콜을 보냈다. 안철수 전 대표는 “한 사람이라도 더 힘을 합해야 한다”며 “만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보였다. 다만 현재로선 손 전 대표가 국민의당에 합류하기보다 제3지대에서 세를 키울 것이란 관측이 많다.
글=권지혜 고승혁 기자 jhk@kmib.co.kr, 사진=김지훈 기자
손학규 “제7공화국 열겠다”… 개헌 위한 복귀
입력 2016-10-21 0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