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호 국가정보원장은 19일 ‘송민순 회고록’과 관련, 문재인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이 남북 경로로 북한의 의사를 확인해보자는 제안을 수용했다는 주장에 대해 “맞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 원장은 이어 “회고록이 구체적이고 사리에 맞기 때문에 사실이나 진실이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서울 내곡동 국가정보원 청사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 정보위 간사들이 전했다.
이 원장은 노무현정부의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표결 기권 최종 결정 시점이 “(2007년 11월) 16일이 아니라 20일이 맞다”고 했다. 이는 송민순 당시 외교통상부 장관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이재정 당시 통일부 장관 등은 북한 의사를 확인하지 않고 11월 16일 노무현 대통령 주재 회의에서 최종 결정이 내려졌었다고 주장했다.
새누리당은 이 원장이 ‘김만복 당시 국정원장이 제일 먼저 북한의 의사를 물어보자고 한 것이 맞느냐’는 질문에 “맞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이 원장이 김 전 원장 행위에 대해 “사실 황당스럽고 이해가 안 된다. 참 수치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는 것이다.
이 원장은 회고록에 대해 “회고록은 기억이 아니라 기록이라고 본다”면서 “회고록은 치밀한 근거를 갖고 기술된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당시 상황을 입증할 각종 자료의 존재 및 공개 여부에 대해선 “정보 사안에 대해 NCND(Neither Confirm Nor Deny·긍정도 부정도 안 함) 원칙이 적용돼 지금 이 시점에서는 (밝히기) 어렵다”며 구체적인 답변을 피해갔다.
야당은 반발했다. 국회 정보위 소속 야당 의원들은 오후 긴급 성명을 내고 새누리당 간사인 이완영 의원의 발언을 정면 반박했다. 이들은 “국정원장은 ‘이 간사의 주장이 맞느냐’는 야당 정보위원 질문에 ‘오늘 국감장에 함께 있었지 않았나. 그런 말 한 적 없다’고 대답했다. 이 의원의 주장은 사실과 전혀 다르다”고 주장했다. 문재인 전 대표의 대변인 격인 민주당 김경수 의원은 “국정원이 또다시 야당 대선 후보 흠집내기에 나섰다”고 비난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北 의견 수렴 제안 문재인, 수용했다”
입력 2016-10-20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