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상공세 새누리당 ‘믿는 구석’은 윤병세?

입력 2016-10-20 00:00
‘송민순 회고록’ 공세에 화력을 퍼붓고 있는 새누리당의 ‘히든카드’로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떠오르고 있다. 윤 장관은 논란이 되고 있는 2007년 11월 유엔의 북한인권결의안 표결 당시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이었다.

새누리당 핵심 관계자는 19일 “윤 장관이 당시 관련 회의에 거의 다 들어갔다”며 “국감이 끝난 뒤 국회 예결위원회나 외교통일위원회 등에 윤 장관을 불러 어떤 일이 있었는지 자세한 얘기를 들어보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했다.

노무현정부의 마지막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을 지내며 당시 외교·안보 정책 결정에 깊숙이 관여했던 윤 장관의 입을 빌려 진상을 규명하겠다는 얘기다.

회고록에 나오는 북한인권결의안 기권 여부가 논의됐던 세 차례 회의에 윤 장관이 모두 참석했는지는 확실치 않다. 윤 장관이 2007년 11월 15일 안보정책조정회의에 참석했을 가능성은 있지만 비공식 회의 성격인 11월 16일과 18일 회의까지 참석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이 있다.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 재임 시절 외교부 차관보였던 심윤조 전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청와대 안보실장이 주재하는 안보정책조정회의에 외교안보수석이 통상 참여한 것으로 알지만 16, 18일 회의 참석 여부는 불확실하다”고 했다. 새누리당 한 당직자는 “윤 장관이 세 차례 회의에 모두 배석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당내에선 윤 장관이 야권의 공격 타깃으로 부각되는 점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유임을 거듭하며 ‘오(五)병세’라는 별칭을 얻은 윤 장관이 새누리당의 부담스러운 ‘헬프 요청’에 적극적으로 움직일지도 관건이다. 이번 국정감사에서도 윤 장관은 일본군 위안부 합의 문제로 야당의 십자포화를 맞은 바 있다.

새누리당 ‘문재인 대북결재 요청사건 진상규명위원회’ 부위원장인 박맹우 의원은 “당시 상황을 윤 장관이 상세히 파악하고 있을 것”이라면서도 “실제 증언할 수 있을지는 장담하기 어렵다”고 했다. 윤 장관이 과거 정권에 상처를 내는 일에 공개적으로 나서기는 어렵더라도 관련 기록 등을 제출하는 일에 도움을 주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있다.

새누리당은 윤 장관뿐 아니라 당시 외교안보 정책결정 라인에 있었던 고위직과 실무자를 접촉해 관련 증언을 들어볼 계획이다. 또 각 상임위 차원에서 당시 안보정책조정회의 회의록과 청와대 출입기록, 알렉산더 버시바우 당시 주한 미국대사와 외교통상부 차관의 면담기록, 유엔 주재 한국대표부 공문 등 자료 제출을 요청했다.

새누리당은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에 따라 공개되기 어려운 기록물이 있는 등 진상규명에 난항을 겪을 경우 국정조사 카드로 압박할 계획이다. 당 고위 관계자는 “하루 이틀 걸릴 문제는 아니지만 야당이 숨길 수만은 없는 중대한 사안인 만큼 결국 팩트가 나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