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대선 서해 북방한계선(NLL) 대화록에 이어 ‘송민순 회고록’ 파문이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의 대선 발걸음을 붙잡고 있다. 두 사건은 모두 노무현정부가 임기 말에 대북 관계 회복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벌어졌다.
이 때문에 문 전 대표가 자신의 정치적 근원인 노무현 전 대통령의 그림자에서 벗어나야 대선 ‘재수’에 성공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회고록 사건은 문 전 대표가 ‘친노(노무현) 프레임’과 결별하고 외연 확대 성공 여부를 가늠하는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회고록과 문 전 대표 측 발언을 종합해보면 2007년 11월 당시 정부는 대북 화해 기조의 통일·정보라인과 국제 공조를 우선했던 외교라인 사이 고심했던 정황이 역력하다. 결국 노 전 대통령은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표결 기권 결정을 내렸다.
회고록을 통해 ‘대북 결재’ 논란이 불거지자 문 전 대표는 “참여정부가 참 건강했다. 누구나 토론에 참여했다. 박근혜정부가 배워야 한다”고 반박했다. 또 당시 관계자 등이 문 전 대표는 초기 표결 찬성 입장이었다고 회고했지만 스스로 “나는 기권을 주장했을 것 같은데 다들 그렇게 (찬성)했다고 한다”는 설명을 내놨다. 이후 사실관계에 대해선 “기억이 안 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18일 충북 괴산에서 가진 간담회에서도 “더 말할 필요를 느끼지 못한다”며 함구했다. 비공개 석상에서 문 전 대표는 “상식적으로 그런 것을 (북한에) 물어볼 필요가 뭐가 있겠나. 답이 뻔한데. 그런 것을 물어볼 위치도 아니었다”고 밝혔다고 측근들은 전했다.
하지만 그가 공식석상에서 침묵하는 것은 구체적 사실관계를 밝힐 경우 자칫 노무현정부에 대한 불필요한 공격 구실이 될 것이란 염려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문 전 대표 측근은 통화에서 “정부를 운영하면서 얼마나 많은 일이 있었겠느냐”며 “회고록 문제는 모범답안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대응이 문 전 대표를 ‘노무현의 유산’에 가두고, 무책임하다는 비판을 키울 것이란 지적도 있다. 대권 경쟁자들이 가장 원하는 그림이기도 하다. 다른 측근은 “마치 노 전 대통령을 부정하는 것 같아 조심스럽지만 당연히 그의 가치와 철학은 계승하되 과오는 극복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라며 “이를 이룩하기 위해 문 전 대표가 정치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 전 대표는 사실관계엔 침묵했지만 새누리당은 작심 비판했다. 그는 “제가 앞서가니까 두려워서 저런다. 10년 전 일로 색깔론을 펼치는 게 먹히겠느냐”며 “군대도 제대로 안 다녀온 사람들이 걸핏하면 종북 타령이다. 새누리당은 안보를 말할 자격도 없다”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괴산=최승욱 기자 eyes@kmib.co.kr, 그래픽=안지나 기자
[이슈분석] “말할 필요 못느껴”… 文의 침묵전략
입력 2016-10-19 0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