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 차관이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대선 후보를 돕기 위해 연방수사국(FBI)의 이메일 수사에 압력을 행사했다는 주장이 나와 논란이 일고 있다.
FBI는 클린턴의 ‘이메일 스캔들’ 수사와 관련된 100쪽 분량의 자료를 17일(현지시간) 추가로 공개했다.
FBI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패트릭 케네디 국무부 차관은 FBI가 ‘기밀’로 분류한 클린턴의 이메일 중 일부를 ‘기밀해제’로 재분류할 것을 요청했다. 케네디 차관이 기밀해제를 요청한 이메일은 2012년 벵가지 사태와 관련된 부분이었다.
특히 케네디 차관은 FBI가 이메일 기밀 분류를 재검토할 경우 FBI가 요청한 이라크 주둔 요원 증가를 도와줄 수 있다며 회유를 시도한 것으로 드러났다. FBI는 케네디 차관의 요청을 거절했으며, FBI의 이라크 주둔 요원의 증가도 이뤄지지 않았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대선 후보는 “법무부, 국무부, FBI가 클린턴의 혐의를 줄이려고 결탁했다”며 “최고위층의 부패를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공화당의 일인자 폴 라이언 하원의장도 성명을 내고 “국무부 고위 공무원이 클린턴의 미숙한 기밀 처리를 덮기 위해 FBI에 압력을 가했다”며 “클린턴에게 국가정보국(DNI) 접근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며 정치 쟁점화를 시도했다.
공화당 전국위원회는 “백악관이 클린턴을 보호하려고 한 것”이라고 가세했다. 같은 당의 데빈 누네스 하원의원과 제이슨 차페츠 하원의원은 케네디 차관의 해임을 요구했다.
이에 클린턴 캠프의 브라이언 팰런 대변인은 “어떤 이메일을 사후에 기밀로 분류할지를 놓고 정부기관 사이에 강한 의견 불일치가 있었다는 건 공지의 사실”이라며 “하지만 클린턴은 관여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뉴욕타임스(NYT)는 클린턴의 당선 가능성을 91%로 제시했다. NYT가 지난 6월부터 각종 여론조사를 토대로 당선 가능성을 예측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트럼프의 승리 가능성은 9%였다.
몬무스대학이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클린턴은 50%의 지지율을 얻어 트럼프의 38%를 12% 포인트 차로 따돌렸다. CNN과 퀴니피액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클린턴은 플로리다와 펜실베이니아, 콜로라도, 네바다, 노스캐롤라이나 등 주요 경합주에서 트럼프를 1∼8% 포인트 차로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오하이오는 트럼프가 우세하거나 클린턴과 동률을 기록했다.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
[2016 미국의 선택] 美 국무차관이 FBI에 힐러리 이메일 수사 압력 파장
입력 2016-10-18 1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