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음악계의 거장으로 인정받는 밥 딜런의 노벨 문학상 수상은 문학의 영역에 대한 통념이나 편견을 깬 파격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문학’과 ‘작가’에 대한 정의가 논란의 중심이 되기도 했지만 노벨상위원회가 생각하는 문학은 ‘쓰는 행위’까지 포함해 왔다. 우리의 대표적 고전가사문학인 농가월령가처럼 그 내용에 문학성이 충실하다면 노랫말도 문학의 범주 안에서 논의될 가치가 있지 않을까. 밥 딜런의 노랫말이 시로서 문학으로 인정받으며 음성언어로 전달되는 대중가요 노랫말의 문학적 가치를 재조명한 의미가 크다. 대중과 의미 있게 소통하고 공감하는 문학이 더 중요하다는 메시지일까. 정지용 시인의 ‘향수’라는 시도 누군가 곡을 붙여서 멋진 가요가 된 것처럼 세상과 삶을 탐구한 그의 촌철살인의 멋진 노랫말은 시의 운율이 형성되어 있어 음악과 기막힌 조화를 이루며 더 빛나는 생명을 얻었을 것이다.
일상과 밀접하기 때문에 삶에 젖어드는 특성이 있는 대중가요는 한 사회를 반영하는 거울과 같다고 말한다. 노랫말과 음악의 결합으로 탄생하는 대중가요는 정서가 문학적으로 구현되어 마음을 흔드는 위대한 힘이 있다. 그런데 요즘 우리의 대중가요 가사는 너무 가볍거나 얕고, 때로 영어와 섞여 있어 의미 전달력도 떨어지고 무게감이나 철학이 느껴지지 않아 아쉽다. ‘귀로 듣는 시’ ‘연주 되는 문학’ ‘음유시인’이라는 찬사를 받은 탁월한 글쟁이인 그의 노랫말이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고 노벨상의 반열에 오를 수 있었던 저력은 시대의 고민을 떠안고 사람의 목소리를 대변하며 세상에 울림을 주고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이 어떤 문학작품 못지않은 역할을 했기 때문일 것이다.
화가로서도 자신의 색깔이 분명한 작품을 그렸다는 호평을 받았으니 천부적인 감각을 지녔음에 틀림없다. 그는 그가 속한 사회에 좋은 영향을 주기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한 예술가다. 반전과 평화를 부르짖은 밥 딜런의 외침은 지금 이 순간에도 유효한 것임을 노벨 문학상 수상으로 방증하는 것 아닐까.
글=김세원(에세이스트), 삽화=공희정 기자
[살며 사랑하며-김세원] 노랫말의 문학적 가치
입력 2016-10-18 1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