젓갈·한과업체·미용실 지원?… 창조혁신센터 헛발질

입력 2016-10-17 18:00 수정 2016-10-17 21:33
박근혜정부가 창업기업 및 중소기업 육성 등을 위해 설립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지원하고 있는 업체 6곳 중 1곳은 당초 취지와 무관한 업종인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영주 의원이 17일 공개한 미래창조과학부의 ‘창조혁신센터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4년 9월부터 올해 8월까지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지원한 업체 1607곳 중 지역별 센터 설립 목적과 맞지 않는 업체가 266곳에 달했다.

두산이 운영하는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는 나노융합·해양플랜트 등 중공업 관련 중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설립됐으나 멸치, 발효콩, 매실음료 등 9개 업체의 판로를 지원한 것으로 확인됐다. 자동차 산업 지원을 목표로 한 현대자동차의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도 롯데리아, 무알코올 음료, 일반 미용실 등에 자금을 지원했다.

태양광 산업 지원을 목표로 했던 한화의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원 업체 69곳 중 2곳만 태양광과 연관이 있었다. 한화는 한화 갤러리아에 젓갈, 한과, 소금 등 상품 입점을 지원했다. SK가 맡고 있는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원한 업체가 2년간 3곳에 불과했다. 이 중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차세대 정보화 도시로 건설하기 위한 세종 U시티 구축에 적합한 업체는 1곳뿐이었다. 나머지는 자동차 부품, 칫솔모 제조업체였다. GS의 전남창조경제혁신센터도 취지에 맞는 지원 업체가 71곳 중 14곳이었다.

김 의원은 “지원할 수 있는 사업이 없다보니 본래 좋은 취지와 다르게 지역 농수산품 사업에 편중 지원된 것으로 보인다”며 “센터별로 사업 계획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미래부 관계자는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역의 창업 지원뿐 아니라 기존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것도 사업 목적에 들어 있기 때문에 엉뚱한 사업을 지원한 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한화 측은 “센터 설립 때부터 태양광 외에 농축산업 지원을 목표로 했었다”고 해명했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