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민순 “진실 안 바뀐다” 문재인 “기억 잘 안난다”
입력 2016-10-18 00:01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이 17일 회고록 논란과 관련해 “진실은 바뀌지 않는다”고 말했다. 노무현정부가 2007년 11월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표결 전 북한에 의견을 물은 뒤 기권했다는 회고록 내용이 사실임을 거듭 강조한 것이다.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이었던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솔직히 그 사실조차 기억이 잘 안 난다”고 한발 물러섰다.
송 전 장관은 서울 종로구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기자들과 만나 “기억으로 쓴 것이 아니라 기록에 의해 책으로 정리했고, 제 입장은 거기에 다 담겨 있다”고 말했다. 김만복 전 국정원장이 비밀 누설 혐의로 고발하겠다고 한 데 대해서도 “그런 정도는 다 감안해서 썼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다만 “책의 일부만 뽑아 정쟁을 삼으면 누구에게도 도움이 안 된다”며 정치 쟁점화에 대한 불만도 드러냈다.
문 전 대표는 노무현정부 인사들의 전날 증언을 사실상 뒤집었다. 그는 이날 인천의 한 기업을 방문한 뒤 기자들과 만나 “저는 기권을 주장했을 것 같은데 다 그렇게(찬성) 했다고 한다.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더민주 김경수 의원의 “문 전 대표는 초기에 찬성 입장이었다”는 전날 발언과 상반된다. 문 전 대표는 “그때 남북정상회담을 했기 때문에 인권결의안도 함께 (채택)하는 게 균형에 맞는다고 생각했던 건지, 인권 변호사 출신이어서 그랬던 것인지, 외교부 설명을 많이 듣다보니 논리에 넘어갔던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고 했다. 이에 문 전 대표 측은 통화에서 “(문 전 대표가) 기억이 잘 안 나는 상황에서 불리한 부분만 모른다고 하는 게 옳지 않다고 생각한 것 같다”고 부연했다.
이재정 당시 통일부 장관은 국민일보 통화에서 회고록에 등장한 ‘북측 요구 쪽지’에 대해 “자세히 보면 북한의 성명서 문체”라고 말했다. 인권결의안에 대한 별도 입장이 아니라 동향보고에 가깝다는 의미다. 송 전 장관은 “쪽지는 부인할 성격이 못 된다”고 재반박했다. 다만 당시 남북 간 공식 대화 기록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회고록 내용이나 반박 내용 모두 입증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관세 당시 통일부 차관은 “남북 총리회담 등 여러 채널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글=권지혜 고승혁 기자 jhk@kmib.co.kr, 사진=윤성호·이동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