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野 대북관’으로 전선 확대

입력 2016-10-17 17:54 수정 2016-10-17 21:29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17일 국회에서 열린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대북결재 요청사건 TF 회의’에서 송민순 전 장관의 회고록을 들어 보이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새누리당이 색깔론 공세에 앞장섰다”고 비판하는 모습. 이동희 기자

새누리당은 17일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북지원 등 노무현정부 전반의 통일·안보 정책을 비판하며 ‘송민순 회고록’ 파문 전선을 확대했다. 대선을 앞두고 유력주자인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를 정조준하는 동시에 야권 전반의 대북·안보관에 대한 검증 성격으로까지 끌어올리겠다는 판단이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1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김정일의 결재를 받아 우리의 외교·안보 정책을 결정했다는 ‘송민순 회고록’이 사실이라면 대한민국의 주권 포기이자 심대한 국기문란 행위”라며 문 전 대표에게 10가지 공개 질문을 던졌다.

정 원내대표는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에 대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해임 거론 배경, 대선을 앞둔 2007년 남북정상회담 성사를 위한 대북 현금지원 의혹, 남북정상회담 합의문 초안 작성 과정에 언급된 ‘3자 또는 4자 종전선언’ 논란 등의 해명을 요구했다. 정 원내대표는 그러면서 김대중정부 시절 남북정상회담 직전 있었던 대북송금 사건도 거론했다.

조원진 최고위원은 야당의 북한인권법 처리 반대, 사드 배치 반대 등을 언급하며 더민주의 안보관을 끌어들였다. 강석호 최고위원은 북방한계선(NLL) 포기 논란을 일으켰던 2차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폐기 의혹도 언급했다.

오후 최고위원·중진의원 긴급 간담회에는 김무성 전 대표, 서청원 최경환 의원 등 당 핵심들이 총출동했다. 서 의원은 19일 국가정보원을 상대로 한 국회 정보위 국감에서 백종천 전 안보실장이 북측으로부터 받았다는 ‘쪽지’ 등 자료에 대해 확인하겠다고 했다. 새누리당은 이날 진상규명 태스크포스(TF)를 ‘위원회’로 격상하고, 18일부터 수시로 긴급의원총회도 개최해 당 차원의 대응책도 마련키로 했다.

지도부의 전면전은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기권 결정이 단순한 ‘일회성’ 차원이 아니라 노무현정부나 야권의 근본적인 대북·안보관에서 비롯됐음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퍼주기 논란’ 등을 일으킨 야당의 대북 정책 전반을 지적하며 야권 대권주자의 안보관 공개검증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이번 사건이 진실공방으로 이어지더라도 대북·안보 이슈에 대한 중도·보수층의 지지를 선점할 수 있다는 계산도 깔려 있다.

글=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사진=이동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