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역 신설 전형적 예산낭비”

입력 2016-10-17 21:28
고속철도(KTX) 세종역 신설 저지를 위한 충북의 움직임이 지역 정치권을 넘어 민간으로 확산되고 있다. 충북건설단체연합회는 17일 충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현재 실시하는 세종역 타당성 조사 철회를 단호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오송역은 세종시 관문역으로 출발했고 충북도와 대전시, 충남도, 세종시가 모두 합의했다”며 “세종역이 신설될 경우 수조원의 혈세를 투입해 완성한 고속철도가 저속철화되는 전형적인 예산낭비 사례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균형발전지방분권충북본부도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는 세종역 신설 사전타당성 조사용역을 즉각 중단하고 세종시 건설의 목적과 계획대로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정부는 지역 이기주의와 정치적 포퓰리즘에 흔들리지 않고 철저한 갈등 관리를 해야 한다”며 “이해찬 의원과 세종시가 요구하는 세종역 신설은 어떠한 명분과 실익도 없어 즉각 백지화돼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세종역 신설 예정지는 대전·세종 경계지역인 세종시 금남면 일원으로 오송역과 15㎞, 공주역과 20㎞ 정도 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충북도와 청주시는 세종역 신설 저지 방안의 하나로 택시비 할증 제도 개선을 추진키로 했다. 택시요금은 복합할증(35%)과 사업구역 외 할증(20%)이 추가돼 철도요금보다 비싸다. 현재 서울역에서 오송역까지의 KTX 요금이 1만8500원인데 오송역에서 내려 세종청사까지 가는 20분 거리의 택시요금은 2만원 안팎이 든다. 모든 할증이 폐지될 경우 오송역∼세종청사 택시요금은 1만3920원에 불과하다.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