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 0.25%P 오르면 증시 外人자금 3兆 썰물”

입력 2016-10-17 00:02



미국의 금리가 0.25% 포인트 오르면 한국의 외국인 주식투자 자금이 3개월 후 3조원가량 유출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원·달러 환율이 1%만 상승해도 역시 외국인 자금은 1조원 정도 빠질 것으로 예측됐다. 연내 확실시되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대비해 환율 변동성에 유의하는 한편 자금유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김효상·양다영 연구원은 KIEP 오늘의 세계경제 최신호에 게재한 ‘예상되는 미국 금리 인상의 국내 파급효과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16일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실증분석 결과 미국 기준금리와 비슷하게 움직이는 1년물 국채 금리가 0.25% 포인트 상승할 경우 한국에 들어온 외국인 주식투자 자금이 석 달 안에 3조원 유출된다고 예측했다. 또 미국의 장단기 금리 차이가 0.2% 포인트 감소하면 우리의 외국인 주식투자 자금이 8000억원 빠지는 것으로 나왔다. 원화가 1% 절하되는 경우에도 1조원 유출이란 결과가 예상됐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비슷한 사례가 두 차례 있었다. 2013년 5월 벤 버냉키 당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양적완화를 축소할 수 있다는 발언을 내놓자 6월 한 달간 한국에선 5조1470억원의 주식투자 자금이 유출됐다. 이른바 ‘긴축발작(taper tantrum)’ 사태다. 선진국의 돈 풀기 정책이 축소될 경우 신흥국에서 통화가치 하락과 증시 급락을 동시에 불러오는 현상이다.

지난해 12월 미국의 1차 금리 인상 때도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3개월간 6조3340억원이 빠져나간 것으로 추산됐다. 이런 영향은 5개월 정도 지나야 미미해졌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우리나라 실물경제에 주는 직접 영향은 미미하지만 원·달러 환율 변동성 확대로 생산과 수출에 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은행 부문을 제외한 주식 및 채권 투자자금 유출입의 변동성을 완화할 정책수단이 부재하다”며 “추가적인 거시 건전성 정책 수단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글=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 그래픽=공희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