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정부가 2007년 유엔의 북한인권결의안 표결을 앞두고 북한의 의견을 물은 뒤 기권표를 던졌다는 회고록 내용을 놓고 여야가 정면충돌했다. 새누리당은 14일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이던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이에 관여했다며 국회 차원의 조사와 청문회 개최를 촉구했다. 당 내 진상조사TF(태스크포스)도 구성키로 했다.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이 최근 낸 회고록에 따르면 2007년 11월 노무현 전 대통령 주재로 열린 안보정책조정회의에서 북한인권결의안 찬성 여부를 놓고 논쟁이 벌어졌다. 당시 송 전 장관은 남북채널을 통해 북한 의견을 확인하자는 김만복 전 국정원장의 제안에 반대했다.
그는 회고록에서 “한참 논란이 오간 후 문재인 실장이 일단 남북 경로로 확인해보자고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노 전 대통령은 당시 결의안 찬성에 반대하는 북한 회신을 받은 뒤 “이렇게 물어까지 봤으니 그냥 기권으로 갑시다. 묻지는 말았어야 했는데…”라고 말했다고 회고록은 적었다.
새누리당은 맹비난했다. 서청원 의원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기를 흔들만한 문제”라며 외교통일위 차원의 조사위원회를 구성해 당시 회의록에 대해 조사해야 한다고 했다. 원유철 의원은 문 전 대표를 겨냥해 “국민 안위보다 북한의 입장이 더 중요한가”라고 했다.
그러나 더민주 문희상 의원은 “정치공세일 뿐 실제 상황과 다르고 국익에 도움이 안 된다”고 했다. 문 전 대표 측 더민주 김경수 의원은 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 당시는 남북정상회담 이후 여러 채널의 남북 대화가 이뤄지던 때라며 “‘북한 인권 문제도 남북 간 직접 대화를 통해 개선하도록 권고하고 유도하자’는 취지에서 논의된 것으로 안다”고 했다. 김만복 전 국정원장은 자신이 북한 의견을 확인하자고 제안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여야 ‘송민순 회고록’ 정면충돌
입력 2016-10-14 21:26 수정 2016-10-15 0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