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생존 위안부 피해자 46명 중 26명에 내주부터 현금 지급

입력 2016-10-14 17:45
정부가 이르면 다음 주부터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 할머니 26명에게 1억원씩 우선 지급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개별 현금지원 사업 강행에 반대해온 일부 할머니들과 관련 단체는 일본 정부의 공식 사죄 및 법적 배상, ‘화해·치유재단’ 해체를 주장하고 있어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여성가족부는 14일 지난해 12월 28일 한·일 정부 간 위안부 문제 합의에 따라 설치된 화해·치유재단 6차 이사회를 열고, 생존 위안부 피해자(지난해 12월 28일 기준 46명, 이후 6명 사망으로 현재 40명) 중 29명이 재단사업 수용 의사를 밝혔다고 공개했다.

여성부 관계자는 “29명 중 26명은 면담 당시 현금지급 신청서를 작성했다”며 “제반 서류 등이 갖춰지면 다음 주부터 조속히 현금 지급(분할 지급 가능)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수용 의사를 밝힌 29명은 피해자 본인 11명, 노환·질환으로 보호자 도움을 받은 경우 13명, 12월 28일 이후 사망한 피해자 유족들이 동의한 5명이다.

정부는 지난 11일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245명 중 생존 피해자 46명에게 각 1억원, 12월 28일 이전 사망자 199명의 유족에게 2000만원씩 지급하는 사업의 신청 접수를 공고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 8월 31일 화해·치유재단에 거출금 10억엔(108억원)을 송금했다. 김태현 재단 이사장은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 회복, 마음의 상처 치유를 위한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생존 피해자 중 해외 거주 3명은 아직 면담하지 못했고,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와 경기도 광주 ‘나눔의 집’ 등 시설에 거주하는 피해자 11명은 재단 측의 면담요청을 거절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