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노트7 단종 결정 이후에도 후폭풍이 이어지면서 이재용(사진) 부회장이 직접 진화에 나설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노트7 판매 실기(失機)에 따른 기회 비용으로 올해 4분기부터 내년 1분기까지 3조원 중반의 추가 손실이 예상된다고 14일 밝혔다. 3분기에 반영된 3조6000억원을 더하면 노트7으로 인한 총 손실은 7조원을 넘게 된다.
삼성전자가 미래에 발생할 손실을 스스로 밝힌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이 부회장의 의중이 상당히 반영됐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 부회장은 노트7 문제에 대응하는 과정 전반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재계 관계자는 “현재 삼성전자 경영진의 생각은 알릴 건 제대로 알리고 투명하게 가자는 것”이라며 “이 부회장이 먼저 제안했든 사후 보고를 받았든 승인을 했기 때문에 예상 손실을 공개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노트7을 계기로 향후 제품 안전성 강화를 위한 내부 품질 점검 프로세스를 전면 개편하고 안전한 제품을 공급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공표했다.
삼성전자는 27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이 부회장의 등기이사 선임안을 의결할 예정이다. 특별한 걸림돌은 없는 분위기다. 국민연금 등 주요 주주들이 대부분 찬성 의사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헤지펀드 엘리엇도 “삼성전자가 세계 최고 브랜드를 가진 글로벌 선도 기업이라는 우리의 관점을 낮추지 않는다”고 지지의사를 보였다.
일각에서는 이 부회장이 책임 경영에 나서기 위해 등기이사가 되는 만큼 그에 걸맞은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지적한다.
제품 안전 문제로 단종 사태가 발생한 만큼 이 부회장이 공개석상에 직접 나서 사과를 해야 한다는 여론도 적지 않다. 노트7 단종까지 의사 결정은 신속하게 이뤄졌지만 경영진이 나선 건 지난달 2일 고동진 무선사업부장(사장)이 유일하다.
빌 조지 하버드경영대 교수는 미국 CNBC 방송에 출연해 “이 부회장이 미국 의회에 출석해 사과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노트7 문제로 삼성 승계 문제가 시험대에 올랐다”고 이 부회장을 겨냥했다.
하지만 이 부회장이 공개 석상에 설 가능성은 아직 낮다. 삼성전자는 사업부서별 독립경영 체제로 운영된다. 1차 리콜 발표 당시 고 사장이 나선 것도 스마트폰에 대한 책임이 무선사업부에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노트7 발화 원인 규명이 더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원인을 찾아내 뭐가 문제였는지를 소비자들에게 정확하게 알리는 게 가장 중요한 일”이라며 “누가 나설지는 그 다음 문제”라고 설명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빨간불 켜진 삼성전자… 이재용, 직접 진화 나설까
입력 2016-10-15 0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