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내년 경제 완만한 회복세 전망… 과연 맞을까?

입력 2016-10-14 00:00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제20차 금융통화위원회를 시작하면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뉴시스
한국은행이 내년도 경제성장률을 2.8%로 전망했다. 지난 7월 2.9% 전망치에서 0.1% 포인트 낮췄다. 대내외 악재에도 불구하고 한국경제가 나쁘지만은 않을 것이라고 낙관론을 견지한 것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내수가 완만한 개선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세계 경제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수출 부진도 점차 완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총재는 13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7%,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8%로 예측된다”고 밝혔다. 기업 구조조정으로 인한 경제심리 위축과 미국 금리인상 등 대외적 하방 리스크 요인을 먼저 언급했지만, 이 총재의 설명은 상승 쪽에 방점이 찍혀 있었다. 그는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 회복되면 글로벌 신흥시장의 성장세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며 “세계 경제가 회복하면서 교역량이 늘고, 수출여건이 좋아지고, 설비투자도 회복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은의 성장률 2.8% 예측치는 다른 연구기관에 비해 높은 수치다.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7 판매중단과 현대차 리콜 및 파업 사태, 김영란법 시행에 따른 소비 위축 등이 악재로 꼽히기 때문이다. 한국개발연구원은 내년 성장률 전망을 2.7%로, 현대경제연구원과 LG경제연구원은 각각 2.5%와 2.2%로 한은보다 낮춰 잡고 있다.

이 총재는 “상·하방 리스크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고려한 것”이라며 “2.8% 성장은 그리 낙관적인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은 조사국 관계자도 “세계경제 성장률을 3.4%로 파악한 IMF에 비해 우리는 3.2%로 낮춰서 보수적으로 전제한 것”이라며 “상·하방 경로 중에서 실행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 수치를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삼성의 갤럭시 노트7 사태도 성장률 전망에 일부 변수로 사용됐다. 조사국 관계자는 “삼성의 스마트폰 연간 생산량이 4억대 규모인데, 국내 생산은 3000만대 정도”라며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봤다. 휴대전화의 수출 비중은 2015년 당시 전체의 5.4% 정도였다. 삼성전자가 자체 노력으로 파장을 수습하고 있고, 다른 제품으로의 수요 이전 효과도 있어 부정적 영향을 어느 정도 상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이날 물가설명회도 함께 진행했다. 7∼9월 중 물가상승률이 0.8%에 그쳐 물가안정목표인 2.0%에 또다시 미달했기 때문이다. 이 총재는 전기료 누진제가 한시적으로 완화되고 국제유가가 낮았던 점을 원인으로 꼽았다.

물가 지표가 국민이 느끼는 것과 괴리가 크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 총재는 “폭염으로 인해 농축산물 가격이 급등하고 주거비가 큰 폭으로 상승해 일반 국민의 체감 물가 상승률이 공식 상승률에 비해 매우 높은 게 사실”이라며 “경기회복 지연으로 소득여건 개선이 미흡한 것도 체감 물가를 높이는 요인”이라고 밝혔다.

한편 금융통화위원회는 10월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1.25%로 유지할 것을 만장일치로 결정했다. 가계부채 급증세가 꺾이지 않고, 연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확실시되어 금리 정책에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 관철됐다. 이날 공개된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9월 의사록에선 7명 위원이 금리 동결을 외치고 3명이 인상을 주장한 것으로 드러나 연말 금리인상 가능성을 더욱 높였다.

글=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 그래픽=공희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