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 안먹히는 가계부채… 9월 6조 넘게 늘었다

입력 2016-10-13 00:01


지난달 은행의 가계부채가 6조745억원 늘어 역대 9월 기준 두 번째 규모로 많이 늘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지난 10일 금융기관별로 가계부채 총량을 점검하겠다고 발표할 정도로 정부의 8·25 가계부채 억제 대책이 무색해졌다.

한국은행은 9월 기준 정책모기지론이 포함된 은행의 가계대출이 전월 대비 6조745억원 증가했다고 12일 밝혔다. 앞선 8월 8조6337억원 늘었던 기록적 수치보다는 조금 낮아졌지만 여전히 높은 증가세다. 주택담보대출이 5조2791억원으로 증가분 다수를 차지했다. 이 역시 지난해에 이어 역대 9월 기준 두 번째로 많이 늘어난 기록이다.

한은은 “견조한 주택거래와 꾸준한 집단대출 취급 등으로 높은 증가세가 유지됐다”고 분석했다.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은 9월 한 달간 1만1000가구를 기록했다. 정부는 8·25대책에서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집단대출 보증 비율을 낮추는 등의 조치를 취했지만, 부동산 활황에 따른 주택담보대출의 급증세를 꺾지 못하고 있다.

주요 은행들은 이달부터 가계대출 리스크 관리에 본격 착수했다. 익명을 요구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10월 들어 5영업일 집계결과 가계대출 잔액이 소폭 줄었다”고 밝혔다. 임 위원장이 “은행 자율적으로 설정한 연말 가계대출 목표치가 제대로 지켜지는지 점검하겠다”며 경고해 놓은 상황이다.

은행들이 정하는 가산금리도 오름세다. 한은이 집계한 8월 예금은행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액 금리는 전달보다 0.04% 포인트 오른 연 2.70%를 기록해 8개월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다. 미국의 연내 기준금리 인상이 기정사실화되면서 은행들이 선제적으로 리스크 관리에 나서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대출받으러 오는 고객을 인위적으로 막을 방법은 없다”면서도 “금리 조절뿐만 아니라 상환능력을 중시한 서류심사를 강화하는 방법 등으로 가계대출을 점진적으로 축소시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