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이틀째인 11일 일부 조합원이 운송 차량을 공격하는 등 폭력을 행사했다. 경찰은 불법행위에 엄정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부산경찰청은 부산북항에서 돌멩이로 화물차의 유리창을 파손한 화물연대 조합원과 복면을 쓰고 폭력을 행사한 이들 30여명을 검거해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광역수사대와 일선 경찰서 강력팀으로 전담수사반을 편성해 현장 주변 CCTV를 분석, 폭력 가담자를 가려내 검거한다는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화물연대의 집단운송 거부에 참여한 화물차 운전자가 0.2%에 그쳤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전날 밤 10시 기준으로 컨테이너 운송 대표 업체인 통합물류협회 컨테이너 운송위원회(CTCA) 소속 15개사와 일반운송업체 77개사의 운전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컨테이너 차량 운전사 8377명 중 운송회사의 지시를 거부하거나 연락이 두절된 이는 16명(0.2%)이었다. 운송 미참여자는 17%인 1426명이었지만, 주말에 이뤄진 사전수송으로 물량이 없어 일을 쉬었거나 회사에 미리 사정을 얘기하고 업무에 참여하지 않은 이들이 대부분이라 파업 참가자로 분류하지 않았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국내 컨테이너 화물차 2만1757대 중 CTCA에 소속된 차량은 38.5%다. 나머지 62%는 소규모 운송업체에 소속돼 개별적으로 영업해 구체적인 운송 상황을 파악하기 어렵다.
운송 거부자가 적은 데다 비노조원들의 운송 방해 행위도 부산북항 외에는 대부분 사전에 차단돼 물류 대란은 없었다. 경기도 의왕 내륙컨테이너기지(ICD)의 경우 경찰이 사전에 입구를 틀어막아 파업출정식에 참석한 900여명의 노조원들이 ICD 안으로 진입하지 못했다.
정부와 화물연대는 여전히 양보 없이 강경하게 맞서고 있다. 정부는 화물연대가 주장하는 ‘화물운송시장 발전방안’ 폐지도 받아들일 수 없고, 파업 전 제시했던 과적단속 강화나 지입계약 유지 규정 등의 협상 카드도 철회할 듯한 분위기다.
세종=서윤경 기자 부산=윤봉학 기자 y27k@kmib.co.kr
화물연대, 파업동력 ‘뚝’ 이틀째 물류대란 없었다
입력 2016-10-11 1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