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사장 “답변하지마”… 미방위 국감 정회소동

입력 2016-10-11 18:02 수정 2016-10-11 21:07


“답변하지 마.”

고대영 한국방송공사(KBS) 사장이 11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의 KBS, 한국교육방송공사(EBS)에 대한 국정감사장에서 김인영 KBS 보도본부장에게 이같이 지시하자 국감장은 술렁였다. 더불어민주당 유승희 의원이 김 본부장을 상대로 ‘이정현 녹취록’이 KBS에서 보도되지 않은 경위를 캐묻는 과정에서였다. 이 녹취록에는 2014년 세월호 침몰사고 당시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현 새누리당 대표)이 김시곤 전 KBS 보도국장에게 전화를 걸어 “해경 비판을 자제해 달라”고 압박한 내용이 담겨 있다. 고 사장은 유 의원의 추궁에 “기사가 직접 보도됐느냐, 안 됐느냐를 보도 책임자인 보도본부장에게 묻는 것은 언론자유 침해 소지가 있다고 본다”고 답한 뒤 김 본부장에게 답변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미방위 야당 의원들은 고 사장의 태도를 지적하며 강력 반발했다. 유 의원은 즉각 국감 정회를 요청했다. 30분가량 이어진 정회 소동 끝에 고 사장의 유감 표명으로 국감이 재개됐다. 고 사장은 떨떠름한 목소리로 “답변 표현이 과했고 증인에 대한 질문을 방해한데 대해 매우 유감”이라며 “성실히 답변에 임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야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녹취록 보도 상황 등 KBS의 편향성을 비판하는 질의가 이어졌지만 고 사장은 부인했다. 고 사장은 “(녹취록 관련) 김 전 국장이 회사와 소송 중에 있어 (김 전 국장의 주장을) 그대로 보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답했다. 고 사장은 또 “(이정현 당시 수석의 통화를) 간섭이라고 생각한 적 없다”며 “보도에 대해 의견은 누구나 제시할 수 있다. 채택하고 않고는 보도국장이 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국가 재난 주관방송사인 KBS의 지진 관련 대응이 미흡했다는 데에는 여야 이견이 없었다. 고 사장은 의원들의 지적에 “제대로 못했다고 저도 생각하고 있다”며 “일본과 같은 방송 시스템을 도입하려 준비 중”이라고 했다.

국토교통위원회의 서울시 국감에서는 용산공원 추진 계획 갈등 책임을 놓고 여당과 서울시가 격돌했다. 새누리당 정용기 의원은 “박원순 시장이 기자회견을 통해 국토부가 일방적으로 공원 조성 사업을 강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김성태 의원도 “박 시장이 정부와 대립각을 세워 대권 의지를 피력하는 것은 소탐대실”이라고 했다. 이에 박 시장은 “(국토부에) 여러 차례 입장을 전달했지만 계속 강행되는 상황이었다”며 “저는 지금 대한민국이 불통 공화국이라고 생각한다”고 받아쳤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