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교단 총회로 본 한국교회 ④] 줄어드는 교세, 세대별 맞춤 전도법 개발로 돌파

입력 2016-10-10 20:52
국가적 저출산 문제는 교회에도 심각한 도전이다. 올해 주요 교단 총회에서는 심화되고 있는 ‘저출산·고령화’에 대한 교단 차원의 대응 방안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새신자 모시자’…전도·개척선교 사업 박차=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통합 총회에서는 세대별 전도 정책을 개발하는 내용의 전도 및 개척선교 사업계획안이 통과됐다. 여기에는 노인층 전도를 위한 교재의 개발과 장년층을 전도하기 위한 전략 마련 등도 포함된다.

예장통합은 ‘유아세례자의 성찬 참여에 관한 연구위원회’도 조직키로 했다. 총회 국내선교부 관계자는 “젊은 세대의 예배 참여와 적극적인 신앙생활을 위해 유아세례자들의 성찬 참여는 중요하다”며 이같이 제안했다. 현재 예장통합은 유아세례자가 입교하기 전까지 성찬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북미를 비롯한 많은 기독교 교파들은 유아세례자들의 성찬을 허락하고 있다.

예장합동은 다음세대와 관련해 총회 산하 학원선교위원회(학선위·위원장 권순웅 목사)가 추진하고 있는 개혁주의 기독대안학교 세우기 운동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학선위는 그동안 교회·학교·가정이 함께 다음세대를 키워나가는 ‘트로이카 선교운동’을 추진해 왔다.

◇‘목사·장로 정년 연장 힘드네’=고령화 시대에 발맞춰 목사·장로의 정년을 연장하는 방안도 헌의됐지만 대부분 부결됐다. 교단 헌법을 개정해야 하는 사안들이 있는데다 사회적 통념과 맞지 않는 부분들도 지적되는 등 반대 의견이 많았다.

예장통합에서는 은퇴 목사의 회원권과 투표권을 회복토록 해달라는 헌법개정건이 부결됐다. 앞서 예장통합 충북노회 등은 “미국장로교회와 캐나다연합교회의 경우, 은퇴목사가 생을 마감할 때까지 발언권과 투표권을 주고 있다”면서 은퇴목사를 대상으로 투표권을 다시 달라는 헌의안을 올렸다. 농어촌교회에 한해 목사를 제외한 항존직(장로·집사·권사)은 정년을 75∼80세로 연장해달라는 제안도 부결됐다. 현재 교회 항존직의 정년은 70세다. 반면 교단 산하 7개 신학대 총장의 정년은 65세에서 70세로 연장키로 했다.

예장합동(총회장 김선규 목사) 역시 목회자 정년 연장안을 다뤘으나 열띤 논의 끝에 결국 부결됐다. 골자는 목사 정년을 73세 또는 75세로 연장하자는 것이었다. 논의과정에서는 고령화로 인해 사역이 중단되고 있는 농·어촌지역 교회의 현실에 대한 호소가 쏟아졌다. 하지만 일반 기업이나 공무원 등의 정년이 65세를 넘지 않아, 사회 통념에 맞지 않는다는 의견에 힘이 실렸다. 사역지를 찾기가 점점 어려워지는 예비 목회자들의 현실과 목회자들의 생계 문제도 정년 연장의 발목을 잡았다. 한 총대는 “목회자 공급 과잉, 택시운전·택배기사 등 생계유지를 위해 일하는 목회자의 박탈감을 생각할 때 정년 연장은 악영향이 더 크다”고 주장했다.

박재찬 최기영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