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군은 북한이 10일 노동당 창건일을 앞두고 국지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보고 비상 대비태세에 돌입했다.
특히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장거리 미사일 발사장과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의 움직임을 주목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7일 “북한의 전략적인 도발이 우려된다”며 “핵실험을 포함한 다양한 도발 양상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순진 합참의장도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장에서 “오늘부터 한·미 연합 정찰자산 운용을 강화했으며 합참 지휘통제실 책임을 장군급이 맡도록 했다”고 밝혔다. 군은 우선 북한이 지난달 20일 공개한 백두산 계열 대용량 신형 정지위성 운반로켓 엔진을 장착한 장거리 미사일을 시험발사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북한은 동창리 발사장 미사일 발사대를 대폭 확장해놓은 상태여서 언제든 새로운 대형 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가 가능하다.
일각에서는 촉박한 시일상 새로운 대형 장거리 미사일 발사가 어렵고, 대신 지난 2월 발사한 은하 3호 같은 형태의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할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 KN-08이나 KN-14 장거리 미사일 발사도 배제된 것은 아니다. KN-08이나 KN-14는 아직까지 한 번도 발사되지 않았으며 군사 퍼레이드 시 공개됐을 뿐이다. 군사 전문가들은 지난 4월 공개한 장거리 미사일용 엔진분출 시험을 공개한 적이 있어 이를 토대로 실제 발사하는 기초적인 비행시험을 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이동식 발사대(TEL)를 사용해 중거리 미사일 무수단이나 노동미사일을 발사할 수도 있다. 강원도 원산 인근 무수단 미사일 기지에서 TEL의 움직임이 일부 식별된 것으로 알려졌다.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6차 핵실험이 이뤄질지도 주목 대상이다. 한·미 군 당국과 정보 당국은 핵실험장의 2번, 3번 갱도에서는 언제든 핵실험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이들 갱도 입구에는 핵실험 움직임을 은폐하기 위한 대형 가림막이 설치돼 있다. 기존 3년마다 실시됐던 북한의 핵실험 주기가 빨라지고 있고 기술 수준도 높아진 만큼 추가 핵실험에는 별다른 제약이 없을 것이라는 게 군 당국의 판단이다.
한·미 군 당국은 최신예 정찰기인 E-8C 조인트스타스(J-STARS)와 주한미군의 U-2, EO-5C 크레이지호크 정찰기, 통신감청용 특수정찰기 RC-12N 가드레일 등을 집중 투입해 주요 기지와 실험장 감시를 강화했다. 양국은 이와 함께 10일부터 미 7함대 소속 항공모함이 참여하는 한·미 연합 해군훈련을 실시키로 했다.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한 한·미 양국의 확고한 대응 의지를 보여주기 위한 훈련이다.
군 관계자는 “미 항모전단이 참여해 핵·미사일 도발 등 다양한 상황에 대한 대응훈련을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근혜 대통령도 북한의 추가 핵실험 또는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도발 가능성에 대비해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등으로부터 북한 동향 등을 수시로 보고받고 대응책을 점검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북한이 언제든 추가 도발할 준비가 돼 있다고 보고 부처와 함께 대응책을 논의 중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현재 박 대통령이 가장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것은 북핵 등 안보위기 상황”이라고 말했다.
조태용 국가안보실 1차장 겸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장은 지난 4일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비공개로 미국을 방문했다. 조 차장은 북한의 5차 핵실험과 추가 도발 대응 문제를 백악관, 국무부 측과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분석] 美 최신예 정찰기 집중투입… 한·미, 核 도발 ‘대비 모드’
입력 2016-10-0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