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후엔 광주·전남 3분의 1이 사라진다

입력 2016-10-06 18:25
‘고령화 공포’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올해 인구는 다소 늘었지만 저출산이 지속되면 20여년 후 행정조직 30% 이상이 문을 닫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광주·전남 지역의 경우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오는 2040년 전체 읍·면·동 3곳 가운데 1곳이 사라질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 광주전남연구원이 발표한 ‘지방소멸 가능성에 따른 지역 공공서비스 개선 방안’이란 보고서에 따르면 광주는 95개 동 중 35.8%인 34곳, 전남은 297개 읍·면·동 중 33%인 98곳이 2040년 소멸 가능지역으로 분석됐다. 범위를 2040년 이후로까지 넓히면 광주 18곳,전남 144곳이 추가돼 광주·전남 392개 읍·면·동 가운데 75%인 294곳이 소멸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연구는 광주전남연구원 김대성·신동훈 책임연구원이 수행했다.

연구진은 각 읍·면·동의 인구 감소와 가임여성 변화율, 고령화율을 토대로 기준을 설정해 인구 감소를 유발하는 3개 기준을 충족하면 2040년 소멸가능 지역, 2개 조건을 충족하면 2040년 이후 소멸가능 지역으로 구분했다.

서울도 고령인구(65세 이상)가 120만명을 넘어서는 등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인구주택총조사를 분석한 결과 삼청동(21.6%) 을지로동(20.6%) 청량리동(20.4%) 등은 고령인구 비율이 20% 이상이었다. 고령인구 비율이 14% 이상인 자치구는 강북구(16.0%) 종로구(15.4%) 등 8곳이었다.

행정자치부는 9월 말 현재 주민등록인구가 5166만4244명으로 지난해 말보다 13만4906명 늘었다고 밝혔다. 여자가 2584만9042명으로 남자보다 3만3840명 많았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