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국가정보원이 박근혜 대통령 퇴임 후 사저 부지를 물색했다’는 전날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주장에 대해 5일 거듭 강력한 유감을 표명했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사실이 아니라고 그렇게 말했는데도 정치권이 근거 없는 의혹 제기로 정치공세를 펼치는데 유감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제 더 이상 사저를 정치공세의 대상으로 삼지 않기 바란다”고 했다.
청와대 내에선 특히 박 위원장이 5년 전인 2011년 10월 불거졌던 이명박 전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 논란을 현 정부에서도 국감 시즌에 맞춰 재연하려는 의도에서 이런 주장을 한 것 아니냐는 기류도 있다. 박 대통령 사저를 ‘제2의 내곡동 사저’ 사건으로 정치이슈화한다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중요한 것은 박 대통령이 삼성동 자택으로 되돌아간다는 것”이라며 “야당이 큰 의혹인 것마냥 근거 없는 주장을 해선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퇴임 후 삼성동 사저로 돌아간다는 계획이 공개됐지만 임기를 마친 역대 대통령들의 사저 논란은 끊이지 않고 계속돼 왔다. 최규하 노태우 전 대통령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역대 대통령은 사저와 관련된 크고 작은 구설에 올랐다. 상당수는 야당의 노골적인 정략 차원에서 제기된 것이었다. 하지만 실제로 일부 사례에선 관련자들이 형사처벌을 받기도 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임기 말 서울 연희동 자택을 대대적으로 개보수했다. 수리에 들어간 금액은 당시 돈으로 수억원이었다. 역대 대통령 사저 중에선 면적이 가장 넓었고 호화 사저라는 비판이 나왔다.
김영삼 전 대통령도 예외는 아니었다. 김 전 대통령은 임기 중 “퇴임하면 옛 모습 그대로 상도동 집으로 돌아가겠다”고 해왔지만 임기 말 당시 8억여원을 들여 옛 집 터에 사저를 신축했다. 당시 청와대는 집이 낡아 신축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IMF 외환위기 상황이었던 만큼 국민적 감정은 좋지 않았다.
김대중 전 대통령 역시 임기 말 동교동 사저 신축에 들어갔고, 당시 야당이던 한나라당(현 새누리당)은 “신축 사저는 방 8개, 욕실 7개, 거실 3개 등 초호화판 ‘아방궁’을 짓고 있다”고 주장했다. 당시 청와대는 “정치공세에 대응하지 않겠다”고 했다.
사저와 관련해 가장 논란이 뜨거웠던 대통령은 노무현 전 대통령과 이명박 전 대통령이다. 노 전 대통령은 고향인 경남 봉하마을에 사저를 신축했으나 넓은 부지와 호화 건물이 논란이 되고 건축비가 수십억이 소요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한나라당으로부터 “집값을 잡겠다던 대통령이 아방궁을 짓는다”는 비판을 받아야 했다. 이 전 대통령 임기 말엔 내곡동 사저 부지 매입 사건이 불거졌다. 당시 이 전 대통령 아들인 이시형씨 등이 부동산실명제법 위반 혐의를 받았으나 불기소 처분이 내려졌고, 2012년 특검 수사를 통해 김인종 전 청와대 경호처장 등 경호처 관계자 3명이 기소됐다. 이 전 대통령은 결국 원래 살던 논현동 사저를 재건축해 입주했다.
노태우 전 대통령은 약간의 수리만 거치고 연희동 자택에 다시 입주했다. 최규하 전 대통령은 2006년 서거할 때까지 서교동 사저에서 연탄보일러를 썼다고 한다.
글=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사진=이병주 기자
역대 대통령들 ‘사저 논란’ 단골 이슈… ‘정략’도 작용
입력 2016-10-0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