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무책임한 공세로 음해” 박지원에 반격

입력 2016-10-04 21:30 수정 2016-10-04 23:43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이 4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 청사에서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퇴임 후 사저 부지를 물색하는 데 국가정보원이 동원됐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이병주 기자

청와대가 4일 박근혜 대통령이 퇴임 후 서울 삼성동 사저로 돌아갈 것이라며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의 ‘국가정보원 개입 의혹’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청와대가 박 대통령의 퇴임 후 거처를 밝힌 것은 처음이다. 박 비대위원장의 국정감사 주장에 대한 반박 차원에서 나온 것이다. 청와대는 당초 박 비대위원장 주장에 공식 대응을 하지 않다가 불필요한 논란이 커질 것을 감안해 이례적으로 이를 공개했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박 대통령이 5년 임기를 마치면 취임 이전부터 계속 살아오던 서울 삼성동 자택으로 돌아가기로 하고, 전직 대통령으로서의 경호 및 보안 문제를 현재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호실, 국정원 등과 협의하는 것 자체도 아무런 하자가 없다는 게 청와대 입장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현재 박 대통령이 퇴임 후 사저로 돌아간다는 것 외에는 아직 정해진 게 없다”고 설명했다. 5년간 사실상 빈집으로 남았던 만큼 약간의 수리가 필요한 것 외에는 증축 등도 현재로선 계획이 없다는 게 이 관계자의 얘기다.

청와대는 특히 박 위원장의 국감 주장에 대해선 불편한 심경을 감추지 않았다. 박 비대위원장이 국감에 맞춰 확인되지도 않은 근거 없는 공세를 펼치고 있다는 것이다. 박 비대위원장이 밝힌 국정원 담당 직원의 ‘내근 좌천’ 주장도 사실이 아니라고 말했다. 한 참모는 “확인도 하지 않고 음모론부터 펼치는 전형적인 정치공세”라고 비판했다. 특히 청와대는 이 문제를 야당이 ‘문고리 권력’ 운운하며 음해하는 것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는 분위기다. 박 대통령 사저는 서울 삼성동에 위치한 지하 1층, 지상 2층 단독주택이다. 박 대통령이 1990년 매입했다. 대지는 484㎡, 건물면적은 317㎡다.

국민의당은 청와대의 반박 이후 별도로 공식 대응을 하진 않았다. 다만 의혹이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국민의당은 청와대 설명이 전직 대통령의 경호 문제를 숨기는 데 급급한 해명이라고 지적했다. 전 대통령을 경호하기 위해선 별도의 경비동이 필요한데 삼성동 사저로 돌아갈 경우 주변 주민의 불편, 경호상 어려움 등이 상당하다. 따라서 4명씩 5개팀의 경호 인력이 지근거리에서 상주하기 위한 부지 매입 필요성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박 대통령이 삼성동 사저로 돌아가게 되면 오히려 경호에 막대한 지장이 생긴다”며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의 경우 경비동이 인근에 설치됐지만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경우 땅값이 비싸 거리가 떨어진 곳에 경비동을 세워 경호에 어려움이 크다”고 말했다. 따라서 경호 필요성을 이유로 부지 매입을 검토할 수밖에 없는데, 여기에 정식 업무 담당이 아닌 국정원이 동원됐다는 것이다. 국민의당은 국정원 등 유관기관과 안전 문제를 협의하고 있다는 청와대 설명이 사실상 이를 인정한 것이라고 본다. 이 관계자는 “대통령 사저 문제는 보안상 청와대 내 서너명밖에 모르는 것”이라며 “사실무근이라는 청와대 해명이 사실무근”이라고 말했다. 이에 청와대 관계자는 “청와대 해명이 아니라 청와대 공식 발표”라고 재반박했다.

남혁상 강준구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