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와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가 주도하는 인천 검단스마트시티 프로젝트가 위기를 맞았다. 투자 내용과 검단지역 경제자유구역 지정 등 세부항목을 둘러싼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당초 4일로 예정됐던 기본협약서 체결식이 무산된 것이다.
4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시와 두바이 국영기업 ‘스마트시티’는 이날 오전 11시 인천시청 영상회의실에서 ‘스마트시티 기본협약서 체결식’ 열기로 했지만 최종 합의 도출에 실패하면서 체결식이 무기한 연기됐다. 또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서 5일 열기로 한 유정복 인천시장과 두바이 거가위 장관의 투자유치 기자설명회도 취소됐다.
조동암 인천시 정무경제부시장은 이날 “토지매각은 거의 확정됐지만 1% 때문에 협상이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땅 매각에 대한 의견 접근이 이뤄진만큼 계약이 성사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조 부시장은 “국토교통부, LH, 산업통상자원부와 협의를 통해 택지개발이 아닌 경제자유구역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이어서 진통이 거듭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인천도시공사 노동조합은 성명을 통해 “기존에 투입된 2조6000억원을 투자자로부터 받지 못할 경우 원안대로 인천검단지구 택지개발사업(이하 검단신도시)으로 개발하는 것이 낫다”며 “경제자유구역으로 추진할 경우 앞으로 4년간 금융비용만 8000억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스마트시티는 서구 검단새빛도시 470만㎡에 정보통신기술(ICT)·미디어콘텐츠·교육 분야의 글로벌 기업들을 유치하고 업무·주거·오락·교육 기능을 복합한 자족도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유정복 시장의 야심찬 외자유치 사업이기도 하다.
양측은 이 사업에 약 5조원을 투자하기로 큰 틀에서 합의했다. 하지만 사업 착수와 함께 두바이 측이 납부해야 할 이행보증금 규모와 사업 실패 시 보증금 몰취 방식, 투자 유치 방안, 검단지역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는 문제 등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인천시, 인천도시공사 및 LH가 공동으로 시행하는 검단신도시는 이미 토지보상이 모두 끝난 상태다. 검단신도시는 인천 서구 원당·당하·마전·불로동 일원 11.2㎢ 규모의 택지를 개발하는 사업으로 사업기간은 2023년까지다. 인천시와 두바이 측은 조만간 다시 협상을 진행해 최종 타결을 모색할 예정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성실하게 협상을 진행해 최종 합의점을 도출하겠다”고 말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토지보상까지 끝났는데… 인천 검단스마트시티 무산 위기
입력 2016-10-04 21:38 수정 2016-10-04 2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