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활성단층 연구 나선다

입력 2016-10-04 17:34 수정 2016-10-04 21:32
정부가 국가 활성단층 연구, 원전안전 등의 과제가 추가된 지진방재 종합개선대책을 연말까지 마련하기로 했다. 지진 정보가 신속하게 전파될 수 있도록 다음 달부터는 긴급재난문자 발송 업무가 기상청으로 일원화된다.

국민안전처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범정부 차원의 지진방재종합개선대책을 연말까지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성호 안전처 차관과 김재관 서울대 교수를 공동 단장으로 하는 ‘지진방재종합개선기획단’을 운영해 대국민 신속 전파 체계 개선, 지진 매뉴얼 정비, 교육·훈련 강화, 시설물 내진 보강 등을 포함한 종합개선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종합대책에는 국가 활성단층 연구, 내진설계 공통기준안 마련, 원전안전·문화재보호 등의 신규과제가 포함된다. ‘9·12 지진 백서’도 발간한다.

안전처가 기상청으로부터 지진 발생 통보를 받아 수행해 온 긴급재난문자 발송 업무는 다음 달부터는 기상청으로 이관된다. 내년 하반기부터는 기상청이 별도 구축한 재난문자 전용 시스템을 통해 지진 관련 재난문자가 발송된다.

안전처는 기상청으로 이관하기 전에는 긴급재난문자를 진도가 아니라 규모를 기준으로 발송할 계획이다. 규모 3.0 미만 지진은 문자를 보내지 않고 규모 3.0∼3.5 지진은 반경 35㎞ 이내 광역 시·도, 3.5∼4.0 지진은 반경 50㎞의 광역 시·도, 규모 4.0 이상 지진은 전국에 문자를 보내기로 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