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르재단 의혹제기 등 野 국감 공세에… 朴대통령, 여의도와 거리두기

입력 2016-10-04 18:30
여당의 복귀로 국회 국정감사가 본격 재개된 4일 박근혜 대통령은 별다른 공식 일정 없이 참모들과 현안을 점검했다. 국감에서 야권은 본격적으로 미르재단과 K스포츠재단의 설립 및 기부금 모금 특혜 의혹 등을 제기할 태세지만 박 대통령은 당분간 여의도와 거리를 두면서 민생 행보를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국회 정상화와 관련해 안보, 경제, 민생을 거듭 강조했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안보와 경제, 민생 안정을 위해 (국감에서) 심도 있는 논의가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국회가 근거 없는 의혹 제기와 소모적인 정치공세만 이어가선 안 된다는 의미다. 오는 21일 국회 운영위의 청와대비서실 국감에 기관증인으로 채택된 우병우 민정수석을 출석시키지 않기로 입장을 굳힌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청와대는 야권의 폭로성 의혹 제기에 일일이 맞대응하는 것은 자제하겠다는 분위기다. 다만 청와대는 이날 ‘박 대통령 퇴임 후 사저를 이재만 총무비서관이 지시해 국가정보원이 물색했다’는 야당 주장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적극 해명했다.

박 대통령은 당분간 기업 구조조정, 내수 침체 등 국내외 경제 현안 등을 중점적으로 챙기는 등 위기 극복 방안을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서도 안보·경제의 동시 위기 극복을 위한 국민적 단합과 초당적 협력을 정치권에 우회적으로 촉구할 것이라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 얘기다.

박 대통령은 특히 오는 10일 노동당 창건일을 전후해 북한이 핵실험 또는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재차 도발을 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응책 마련에도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으로 당분간 박 대통령의 국정 최우선 순위가 북 핵·미사일 대응과 경제위기 극복에 맞춰질 것이라는 의미다.

박 대통령은 지난 1일 국군의 날 기념사를 통해 “우리 사회가 안보 문제까지도 이념적, 정파적 갈등을 겪고 있다”며 “안보 문제에 있어서만큼은 뜻을 모아주고, 우리 정부와 군의 노력을 지지하고 성원해주기 바란다”고 강조한 바 있다. 여기엔 엄중한 안보위기를 더 이상 야권이 정치적으로 이용해선 안 된다는 뜻이 담겨 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