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3위 온실가스(탄소) 배출국 인도가 파리 기후변화협정을 2일(현지시간) 공식 비준했다. 이에 따라 파리협정의 연내 발효에 청신호가 켜졌다.
AP통신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파리협정 비준서를 유엔주재 인도대사를 통해 유엔에 기탁했다. 독립 영웅 마하트마 간디의 생일에 맞췄다. 앞서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간디가 평소 탄소 배출을 최대한 줄이는 생활을 보여줬다”며 “간디의 생일인 10월 2일에 맞춰 파리협정을 비준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 채택된 파리협정은 산업화 이전 수준과 비교, 지구의 평균온도가 2도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55개국 이상이 비준하고, 비준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 세계 배출량의 55%를 넘으면 발효된다. 현재까지 61개국이 비준했다. 비준국의 배출량이 47.5%에 머물러 아직 발효되지 못한 상황이다.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4.5%를 차지하는 인도의 비준으로 배출량 52%에 도달하면서 파리협정이 연내 발효될 가능성이 한층 커졌다. 인도에 이어 온실가스 배출량 1.95%를 차지하는 캐나다가 비준을 앞두고 있다. 유럽연합(EU)도 비준 절차를 진행 중이다.
그동안 인도는 산업발전과 에너지 수급을 우선순위로 두고 환경문제에는 소극적으로 대처했다. 지난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개막을 앞두고 세계 1, 2위 온실가스 배출국 중국과 미국이 파리협정을 비준한 것이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마다브 데이브 환경부 장관은 “파리협정 비준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국제적 행동을 촉구하기 위한 노력”이라고 밝혔다.
신훈 기자
‘탄소 배출 3위’ 인도, 파리기후협약 비준
입력 2016-10-03 18:16 수정 2016-10-03 2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