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제조까지… 야심 드러낸 구글

입력 2016-10-04 04:00
구글이 4일 공개할 픽셀(왼쪽)과 픽셀XL.

구글이 프리미엄 스마트폰 제조까지 영역을 확대한다.

구글은 4일(현지시간) 행사를 열고 신제품을 공개할 예정이다. 어떤 제품을 공개할지 밝히지 않았지만 미국 IT 매체들은 구글이 픽셀과 픽셀XL이라는 두 개의 스마트폰을 선보일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캐나다 이동통신사 벨캐나다를 통해 제품 이미지가 공개되면서 예상은 사실로 굳어지는 분위기다.

픽셀은 구글이 스마트폰 시장에 대한 전략이 완전히 달라졌음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구글은 그동안 ‘넥서스’ 브랜드로 스마트폰을 판매해 왔다. 넥서스는 제조사들에 기준을 제시하는 ‘레퍼런스폰’ 성격이 강했다. 안드로이드 순정 OS를 선호하는 일부 마니아층에게 인기가 있었지만 삼성전자 등 제조사의 점유율을 위협할 정도는 아니었다. 가격도 중저가 수준을 유지했다.

넥서스는 제조사가 하드웨어를 개발하고 구글은 소프트웨어를 담당하는 협력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삼성전자, LG전자, HTC 등이 파트너로 참여했다.

픽셀은 이와 상반된 전략을 취한다. 픽셀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 구글이 직접 제작한다. 생산만 대만 HTC에 맡긴다. 애플이 폭스콘에 생산을 맡기는 것과 비슷한 방식이다. 가격도 프리미엄급으로 높인다. 5.5인치 화면에 QHD 해상도를 갖춘 픽셀XL은 649달러에 판매될 예정이다. 아이폰7 32GB 모델과 같은 가격이다.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을 겨냥한다는 의미다. 5인치 풀HD인 픽셀은 이보다 낮은 가격에 판매된다.

구글은 안드로이드 점유율이 거의 90%에 육박하면서 스마트폰 시장을 장악했지만 안드로이드 ‘파편화’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제조사마다 OS를 자기 입맛에 맞게 수정하다 보니 앱 호환성 등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애플의 경우 새로운 OS가 나오면 사용자들이 빠른 속도로 업그레이드를 하지만 안드로이드는 새로운 버전이 나와도 제조사와 사용자 모두 업그레이드를 미룬다. 호환성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구글로선 직접 만든 픽셀의 점유율이 높아질수록 파편화에 대한 고민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구글이 이전과 달리 스마트폰 판매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 갤럭시 노트7과 픽셀이 직접 경쟁을 펼치게 되면 삼성전자와 구글 사이에 새로운 긴장 관계가 형성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구글은 이날 행사에서 아마존 에코와 경쟁할 인공지능(AI) 비서 ‘구글 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도 공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글 홈은 AI 서비스인 ‘구글 어시스턴트’를 기반으로 구동된다. 구글은 검색량의 20%가량이 음성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구글 홈은 이달 말쯤 판매가 시작될 전망이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