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새누리당이 4일부터 국감 일정을 정상화하기로 한 데 대해 공식입장을 내진 않았으나 일단 환영한다는 분위기다. 다만 국회 상황에 청와대가 개입한다는 인상을 주지 않기 위해 조심스럽게 “당의 결정을 존중한다”며 수위 조절을 하고 있다.
청와대로선 국감 파행 장기화는 국정 운영에 부담스러운 측면이 컸던 만큼 이제는 국회 정상화를 위해 여야가 협력을 모색해야 한다는 반응도 나왔다. 국감 파행이 장기화될 경우 여야 감정의 골은 더욱 깊어지고, 추후 국감이 재개되더라도 정부의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노동개혁, 경제활성화 관련 법안의 입법 등이 계속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북핵 위기 대응을 위해 총력전을 펴고 있는 박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도 부담이 된다. 김재원 청와대 정무수석이 최근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와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등을 만나는 등 새누리당의 국감 복귀, 이 대표의 단식 중단을 위해 여러 차례 여의도를 오가며 물밑 조율을 한 것 역시 이런 측면이 크다. 청와대 관계자는 3일 “지금은 안보 위기에 대한 여야를 가리지 않는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국감 일정 정상화를 계기로 국회에서도 건설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특히 앞으로 민생과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여야 간 대화가 이뤄져야 한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도 지난 1일 국군의날 기념사를 통해 국민적 단합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점을 거듭 당부했다.
다만 청와대 내부적으론 국감 재개로 미르재단·K스포츠재단 설립 및 기부금 모금 관련 의혹을 놓고 야권이 다시 전면 공세를 펼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또 검찰 수사가 조만간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되는 우병우 민정수석에 대한 야당의 공격 역시 재차 거세질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하지만 청와대는 일단 야당의 이런 공세는 ‘근거 없는 정치공세’라는 점을 분명히 하면서 야권 주장에 대해 직접 대응하는 것은 자제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통령 역시 당분간 국회와 관련된 언급을 하지 않고 민생 행보 등을 이어갈 예정이다.
[관련기사 보기]
☞
☞
☞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靑, 국감정상화 ‘환영’… 野공세엔 무대응할 듯
입력 2016-10-03 18:10 수정 2016-10-03 2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