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정세균 공격은 계속… ‘정국 불씨’ 그대로

입력 2016-10-02 21:11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오른쪽)가 2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앞서 동료 의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시계 반대방향으로 정 원내대표, 김광림 정책위의장, 이만희 이현재 민경욱 의원. 서영희 기자

새누리당이 2일 이정현 대표의 단식 중단과 국감 복귀를 전격 선언하면서 국회 파행 장기화 사태는 피하게 됐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정세균 국회의장에 대한 형사고발 등을 취하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고, 야당은 대여(對與) 공세의 고삐를 바짝 쥘 태세다. 정 의장 역시 원론적인 대국민 사과를 했을 뿐 여당에는 고개를 숙이지 않았다. 따라서 국회 공전 상황만 가까스로 봉합됐을 뿐 또 다시 강대강 대결구도로 치달을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의원총회 후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번 사태의 본질은 국회의장의 중립성 훼손과 국회법 절차를 무시한 횡포, 일탈된 행태를 바로잡고자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 의장이나 야당과의 협상을 통해 ‘반쪽 국회’를 끝내는 게 아니라 국민의 뜻에 따른다는 의미에서 “국민에 대한 무조건 순명(順命)”이라고도 했다.

정 원내대표는 국회의장의 정치적 중립 의무를 명시하는 ‘정세균 방지법’이라는 네이밍을 쓰지 않겠다고 했을 뿐 이를 추진하겠다는 의지도 강하게 피력했다. 새누리당 한 의원은 “건강에 위협을 받는 당대표가 국감 복귀를 당부했기 때문에 더욱 강력한 투쟁을 해야 한다는 의원들이 속내를 드러내지 못한 것”이라고 했다. 당 차원에서는 아니더라도 소속 의원 일부가 정 의장에 대한 의혹 제기를 이어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야당은 그동안 이 대표의 단식농성이 이슈를 끌어당긴 탓에 공격 타이밍을 놓친 주요 현안에 대한 공세에 불을 지필 전망이다. 미르·K스포츠 재단과 청와대 우병우 민정수석에 대한 의혹, 백남기씨 부검 문제뿐 아니라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에 대한 해임 요구에 당력을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은 김 장관 대신 차관을 상대로 질의하는 등 김 장관을 ‘외면’하는 방식을 고수하고 김 장관의 자진사퇴도 촉구할 예정이다.

이밖에 사드 배치와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신설, 누리과정(만3∼5세 무상보육) 예산 문제 등을 놓고도 여야 갈등이 예상된다.

새누리당 내부적으로는 당론을 벗어나 국감 진행을 했던 당 소속 국회 국방위원장인 김영우 의원 징계 문제가 불씨로 남게 됐다. 친박 색채가 뚜렷한 당 지도부에선 징계 불가피 의견까지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비박(비박근혜)계 의원들을 중심으로는 위중한 국가안보 상황을 감안한 김 의원의 결정에 대해 징계 여부를 논의하는 것 자체가 과하다는 말이 나왔다.

[관련기사 보기]



글=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사진=서영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