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늑장 공시’ 논란

입력 2016-10-02 18:00 수정 2016-10-03 00:31
한미약품 이관순 사장이 2일 오전 서울 송파구 한미약품 본사에서 긴급 기자간담회를 갖고 최근의 공시 파문에 대해 사과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지난달 29, 30일 하루 차이로 호재와 악재 공시를 번갈아 내면서 투자자들의 피해를 야기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뉴시스

호재와 악재 공시를 하루 차로 발표해 투자자 피해를 야기했다는 비난을 받은 한미약품이 2일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해명에 나섰다. 그러나 투자자들은 한미약품 측의 해명이 납득되지 않는다며 강력한 처벌을 요구하는 등 파문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금융 당국은 시간차 공시 관련 내부자거래 여부와 공매도 관련 부당이익 의혹까지 집중 조사에 착수했다.

한미약품 이관순 사장은 이날 오전 9시 서울 송파구 한미약품 본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공시 늑장 대응 논란에 대해 설명했다. 한미약품 주가는 지난달 30일 장 시작 직후 5% 가까이 급등했다가 베링거인겔하임(BI)에 기술 이전한 ‘올무티닙' 개발이 중단됐다는 공시가 발표된 후인 9시30분쯤부터 급전직하했으며 결국 18.06% 폭락하며 장을 마감했다. 한미약품이 BI로부터 계약 해지를 통보받은 것은 29일 오후 7시6분이었다. 앞서 한미약품은 전날 장 마감 후인 오후 4시30분쯤 다국적 제약기업 로슈의 자회사인 미국 제넨텍에 1조원 상당의 표적 항암제를 기술 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한 바 있다.

김재식 최고재무책임자(CFO)는 “BI의 계약 해지로 인한 정정 공시였기 때문에 야간근무자가 아닌 담당자와 해결하려고 했다”고 해명했다. 그는 이어 “30일 오전 8시40분부터 공시를 위한 절차를 진행했지만 해지 기술 수출 규모가 지난해 공시와 차이가 있어 이 갭을 설명하다보니 공시가 늦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거래소 관계자는 “한미약품은 거래소에서 공시 내용을 사전 검토하는 대상이 아니므로 기업 측에서 관련 시스템에 입력하면 거의 즉각 공시로 표출된다”며 “한미약품이 너무 늦게 대응한 것이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투자자들 역시 분개했다. 이들은 충분히 개장 전에 공시가 가능했음에도 개장 후 주가가 급등한 시점에 악재를 알린 점에 대해 “이해할 수 없다”고 입을 모았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는 이날 오후 “시장 혼란을 초래한 한미약품 공시와 관련해 공시의 적정성 및 미공개 정보 이용행위 등 불공정거래 여부에 대해 조사하겠다”며 “위법 사실이 발견되면 상응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한미약품은 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지난 5월 ‘올무티닙’ 조건부 승인 전에 이 약을 투입한 환자가 사망한 사실도 공개했다. 식약처는 이에 대해 “한미약품 제출 자료에는 해당 부작용과 약의 연관성이 명확하지 않다고 돼 있었다”고 해명했다.

허경구 김지방 민태원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