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잠룡들이 정세균 국회의장에 대한 투쟁은 계속하되 국정감사에는 참여하는 ‘투 트랙’ 전략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국회 파행 장기화로 인해 국정 운영 책임을 지는 집권여당마저 민생 현안을 뒷전으로 하는 것처럼 보여선 안 된다는 취지다. 거야(巨野)의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건의안 밀어붙이기와 정 의장의 편파적 국회 운영에 책임이 있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었다.
김무성 전 대표는 지난달 29일 비주류 의원들과 회동을 갖고 이런 의견에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야당의 횡포’에 맞서기 위한 강경 투쟁 필요성에는 동의하지만 집권여당으로서 국감을 완전히 ‘보이콧’하기는 무리라는 얘기다. 한치 양보 없는 싸움을 반복하기보다 대화와 협상으로 꼬인 정국을 풀어나가야 한다는 김 대표의 소신도 이 같은 판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유승민 의원은 지난달 30일 서울대 강연 후 기자들과 만나 정 의장에 대한 문제에는 공감한다고 하면서도 “당대표가 국회의장에 대한 항의 표시로 단식하고 있지만 전체 의원들은 다음 주에 국정감사를 시작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밝혔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2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정 의장의 독단적·편파적인 국회 운영에 항의하는 여당 입장을 충분히 이해한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집권여당으로서 책임감을 강조하며 “국감에 임해 민생과 안보를 돌보면서 정 의장과의 싸움은 치열하게 해야 한다”고 ‘투 트랙’ 전략에 무게를 실었다.
대치 국면만 지속될 경우 집권여당이 떠안게 될 정치적 부담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김 장관 해임건의안은 절차와 내용, 형식적 요건을 모두 갖추지 못한 만큼 이번 일은 먼저 원인을 제공한 야권에 책임이 더 크다”고 지적했다. 그는 다만 “강대강 대치를 하더라도 민심을 얻어가면서 협상을 해야 협상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 있다”며 “이제 국감 복귀 방안을 검토해야 할 시점 아니겠느냐”고 했다.
[관련기사 보기]
☞
☞
☞
☞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여권 잠룡들 ‘투 트랙’ 한목소리… “對野 투쟁 계속하되 국정감사는 참여해야”
입력 2016-10-02 18:11 수정 2016-10-02 1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