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우 징계’ 불씨 계파갈등 불 지피나

입력 2016-10-02 18:11 수정 2016-10-02 19:07

새누리당에 새로운 화약고가 부상하고 있다. 당론을 어기고 국정감사를 진행한 당 소속 김영우(사진) 국회 국방위원장 징계 문제다. 국회 파행이 정상화되더라도 새누리당은 김 위원장 징계 문제로 한바탕 홍역을 치를 전망이다.

새누리당 지도부가 징계 절차에 착수할 경우 “징계해야 한다”는 친박(친박근혜)계와 “징계해선 안 된다”는 비박(비박근혜)계의 정면충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새누리당 지도부 의견은 강경하다. 지도부 인사는 2일 “당론을 어길 경우 처벌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음에도 김 위원장이 돌출행동을 했다”며 “징계는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한 친박 의원은 “김 위원장의 행동은 다른 새누리당 의원들에게 상처를 줬다”면서 “김 위원장은 국가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국감에 참여했는데, 그렇게 하면 국감 보이콧을 계속했던 의원들은 뭐가 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새누리당 지도부도 퇴로가 없긴 마찬가지다. 중징계를 천명한 상황에서 아무 일 없었던 것처럼 지나갈 수는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반대 목소리도 높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국가안보를 중시하겠다는 새누리당의 가치와 국회 상임위원장으로서 중립적이고 정상적으로 국방위원회를 이끌어가겠다는 김 위원장의 결정은 징계가 아니라 오히려 칭찬받아야 할 행동”이라며 “김 위원장은 국회를 당파적으로 이끈 정세균 국회의장보다 백 배 낫다”고 강조했다. 다른 비주류 중진 의원은 “김 위원장 징계가 현실화될 경우 가만있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비박계 내부 의견이 엇갈리는 것은 중요한 대목이다. 일부 비박계 의원들은 더 큰 혼란을 막기 위해 경징계 정도는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다른 비박계 의원들은 “징계 자체가 말이 안 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 징계를 놓고 비박계 내분이 일어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김 위원장은 경기도 성남 국군수도병원 체육관에서 엄수된 해군 링스헬기 순직 장병 3명 합동 영결식에 참석했다. 김 위원장은 “징계는 당 지도부가 결정할 문제”라며 말을 아꼈다.

[관련기사 보기]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