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북한과 관계 단절·격하” 전 세계에 요청

입력 2016-09-30 00:02
미국 정부가 세계 각국에 북한과의 외교 및 경제 관계를 단절하거나 격하할 것을 공식 요청했다. 미 정부는 또 랴오닝훙샹그룹 외에 다른 중국 기업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과 관련된 물자를 거래한 혐의를 잡고 조사를 확대하고 있다.

대니얼 러셀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28일(현지시간) 상원 외교위원회 동아태 소위원회 청문회에서 “전 세계 미국 공관에 주둔국 정부가 북한의 5차 핵실험을 규탄하고 외교 및 경제관계를 격하해 달라고 요청하라는 지시를 내려보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25일까지 75개국이 북한 규탄 성명을 냈다”고 말했다. 미국이 세계 각국에 대북 관계 단절이나 격하를 공식 요청한 것은 처음이다.

러셀 차관보는 “북한의 위협은 갈수록 잦아지고 언행은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정도”라고 비판하면서 “북한을 비핵화 협상 테이블로 복귀시키기 위해 북한 정권의 수입원을 겨냥한 대북제재를 꾸준히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의 석탄 수출을 전면 차단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안보리는 지난 3월 대북제재 결의 때 북한의 석탄 수출을 제한하면서 민생 목적의 수출은 예외적으로 허용했다. 새로운 대북제재에서는 예외조항도 없애겠다는 것이다.

러셀 차관보는 “북한은 석탄 수출로 전체 수출액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연간 10억 달러(1조990억원)의 수입을 올린다”고 말했다.

그러나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9일 정례 브리핑에서 러셀 차관보의 발언에 대해 “현재 북·중 석탄 교역은 안보리 결의 규정에 부합한다”며 석탄 교역을 중단할 뜻이 없음을 밝혔다.

겅 대변인은 이어 “북핵 문제의 유래와 핵심적인 원인은 중국에 있지 않다”며 “미국이 책임을 다함으로써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건설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