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이 국정감사를 보이콧하는 상황에서 새누리당 소속인 김영우 국회 국방위원장이 29일 여당 소속 상임위원장으로는 처음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정세균 국회의장의 사퇴를 촉구하며 국감에 참여하지 않기로 한 당론에 공개적으로 반기를 든 것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방위사업청,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등 3개 기관에 대한 국방위 국감에 참석해 개의를 선언했다. 경대수 백승주 이종명 의원 등 일부 여당 소속 국방위원들이 김 위원장을 만류했지만 막지 못했다. 김 위원장은 “그동안 국방엔 여야가 없다는 말을 여러 차례 했다”며 “그 말에 책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른 여당 국방위원들이 국감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김 위원장은 야당 의원들하고만 국감을 진행했다.
정진석 원내대표가 전날 의원총회에서 “당론을 따를 수 없다면 무소속 정치를 하는 게 옳다”고 경고했음에도 이탈자가 발생한 것이다. 조원진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원내대표단 연석회의에서 “당에는 당론이 있고 당의 결정이란 게 있다”며 “당의 결정에 위배되는 행동을 하는 분들은 거기에 대한 합당한 책임을 반드시 묻겠다”고 했다. 당 지도부는 ‘국감 참여론’이 확산될 경우 투쟁 의지가 꺾일 수 있다고 우려해 징계 방침을 분명히 한 것이다.
내부분열을 막기 위해 징계 카드를 꺼내들었지만 처벌 수위는 고민이다. 이장우 최고위원은 기자들과 만나 “당론을 위배하는 것은 해당(害黨)행위”라면서도 김 의원 징계 문제에 “아직 그런 얘기까지 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조 최고위원도 김 의원 징계에 대해서는 “다시 지도부하고 논의하고 의총을 열어 결정할 문제”라고 했다.
당내 일부 강경파들 사이에서는 김 위원장을 ‘출당’ 조치해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출당은 당원 명부에서 제명하고 당원 자격을 박탈하는 최고 수준의 징계다.
그러나 김 위원장을 징계할 경우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의회 민주주의 수호’를 명분으로 싸우는 상황에서 국감 정상화를 위해 나선 김 위원장을 징계하는 건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주장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 징계가 현실화될 경우 국감 참여 여부를 두고 이견을 보인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계 간 계파 갈등이 재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관련기사 보기]
☞
☞
☞
☞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단일대오’ 이탈 김영우… 계파 갈등의 불씨
입력 2016-09-30 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