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이어 화물연대 총파업 조짐… 최악사태 오나

입력 2016-09-30 00:02

한진해운발 물류대란이 육상으로 확산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전국 철도노조 파업으로 화물의 30%만 운송되고 있는 가운데 화물연대까지 파업에 나설 경우 해상물류 마비에 이어 내륙물류 마비로 이어질 것이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국토교통부는 철도파업 사흘째인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철도파업에 따른 비상수송 현황 및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여객은 필수근무 인력을 유지한 ‘필공(필수공익) 파업’을 전개하고 있어 타격이 적다. 그러나 화물은 이에 해당하지 않아 운행률이 기존 대비 30% 수준으로 크게 떨어졌다.

특히 수출 물량인 컨테이너의 피해가 크다. 시멘트나 석탄 등은 운송 차질을 예상해 파업 전 추가 수송 등을 통해 미리 비축해 놓은 상태지만 수출입 컨테이너는 사전 수송이 어렵기 때문이다. 파업 전 컨테이너 수송을 위해 운행하던 열차는 평균 66개였지만 파업 이후 절반 수준이 됐다. 하루 평균 수송 물량도 2230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에서 1320TEU로 줄었다.

컨테이너를 실어나르는 화물열차는 부산항과 광양항으로 이동해 현대상선이나 한진해운 등 해운사를 통해 해외로 나가고 있다. 철도로 이동하는 컨테이너 물량 중 83%는 부산항, 12%는 광양항으로 가고 있다.

정부는 철도로 소화하지 못한 컨테이너 물량을 육송으로 전환하고 있다. 국내 컨테이너 운휴 차량 등을 활용해 밀린 물량을 처리하고 있지만 월말 선적 물량이 증가하면서 적체도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9, 30일 이틀간 긴급한 수출입 컨테이너 수송을 위해 의왕 ICD∼부산신항 간 화물열차를 추가 투입하기로 했다. 또 차량 운행이 많지 않은 주말을 이용해 적체 화물을 소화할 계획이다. 군 위탁 컨테이너 화물차(100대)나 자가용 화물자동차에 대한 유상 운송도 허용할 예정이다.

정부가 고민하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화물연대까지 총파업을 실행하는 경우다. 지난 24일 화물연대는 1.5t 이하 소형 화물차를 대상으로 수급조절제를 폐지하고 일방적 계약 해지를 방지해 지입차주를 보호하는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정부의 화물운송시장 발전 방안에 반대해 파업을 결의했다. 만약 철도노조와 화물연대의 파업 시기가 맞물리면 수출기업은 막대한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최정호 2차관은 “철도물류가 파업하면 화물차량이 이를 대체 운송했었는데 화물연대까지 파업할 경우 문제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화물연대가 이를 정부와의 협상 카드로 사용할 수 있을 테지만 반대로 철도물류 파업으로 일거리가 많아진 만큼 이를 포기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보기]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